전이된 방광암은 어떤 방법으로 치료하나요?
방광암이 다른 장기로 전이되었다는 진단을 받았는데, 이런 경우에도 치료가 가능한지 궁금합니다.
전이된 방광암에 대해 고민이 많으실 것 같습니다. 관련 정보를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1. 전이성 방광암의 개요 전이성 방광암은 암세포가 다른 기관까지 전이된 경우로, 방광암 진단 시 약 10%를 차지합니다. 다른 장기로 전이된 경우 5년 생존율이 15% 이하로 급격히 낮아지지만, 치료가 불가능한 것은 아닙니다. 2. 전이성 방광암의 표준 치료법 전이된 방광암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요로상피세포암은 항암화학요법이 잘 듣는 종양의 하나입니다. 서로 다른 작용기전을 가진 단일 약제들을 함께 투여하는 병합화학요법이 전이성 방광암의 표준 치료로 사용됩니다. 전이된 방광암에서는 단일 약제에 의한 화학요법보다 서로 기전이 다른 약제들을 병합한 화학요법이 부작용을 최소화하면서 임상적 반응과 생존율 면에서 더 우수한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3. 사용되는 항암제 전이가 된 방광암의 경우에는 젬시타빈(gemcitabine), 시스플라틴(cisplatin)을 사용한 항암치료를 시행하게 됩니다. 4. 치료 기간과 전략 전이성 방광암의 경우 항암치료 기간이 아직 확실히 정립되어 있지 않습니다. 기본적으로 모든 치료는 '병이 다 없어질 때까지'를 목표로 합니다. 전이성 방광암은 병의 특성상 항암제로 완치하기가 쉽지 않으므로 항암치료 기간을 미리 정해놓을 수 없습니다. 우선 치료 반응을 최대로 유도한 후 병의 상태가 큰 변화 없이 유지된다면 항암치료를 중단하고 경과를 관찰하다가 암이 진행하는 소견을 보일 때 다시 항암치료를 시작할 수도 있고, 중단 없이 치료를 지속할 수도 있습니다. 5. 치료 계획의 결정 요소 지속적인 치료는 암의 진행을 좀 더 늦출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오랜 항암치료로 인한 누적 독성과 비싼 의료비 등은 무시할 수 없는 단점입니다. 따라서 어느 쪽이 낫다고 단정할 수는 없고, 담당의사와 환자가 암의 진행 상태와 항암치료에 대한 반응, 환자가 겪는 부작용의 종류 및 정도, 환자의 전신상태 등을 함께 고려하여 결정해야 합니다. 6. 최근 치료 동향 최근에는 표적 치료나 면역 치료제 등 새로운 치료법이 도입되고 있어 방광암 환자들에게 더 많은 치료 선택지가 생기고 있습니다. 각 환자의 상태에 맞는 맞춤형 치료를 통해 더 나은 치료 결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힐오가 항상 함께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