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방통증과 멍울이 느껴지는데, 어떤 검사가 제일 정확할까요?
40대 후반 여성이고, 최근 들어 오른쪽 가슴에 멍울 같은 게 만져지고 간헐적으로 통증도 있어요. 유방암이 걱정되는데, 어떤 검사를 받아야 정확한 진단이 가능한지 알고 싶습니다. 유방 밀도가 높은 편인데, 그럴 경우 초음파가 더 유리한지도 궁금합니다.
유방에서 만져지는 멍울과 통증에 대해 고민이 많으실 것 같습니다. 관련 정보를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1. 유방에서 만져지는 멍울의 특성 유방에서 만져지는 멍울이 모두 암인 것은 아닙니다. 가슴에 멍울이 만져지면 유방암을 걱정하게 되지만, 유방에서 혹이 만져져 병원을 찾은 이들 중 70% 정도는 '섬유선종'이라는 양성 종양인 경우가 많습니다. 유방에서 멍울이 만져지는 대표적인 양성 종양으로는 섬유선종, 유방낭종, 과오종 등이 있습니다. 2. 유방 멍울의 양성 vs 악성 특징 섬유선종은 멍울을 만졌을 때 움직이는 느낌이 있으면서 통증은 없는 특징이 있습니다. 유방낭종은 유방 조직에 액체가 고여 있는 상태로, 호르몬의 영향을 받아 생리 직전에 크기가 더 커지고 만졌을 때 통증이 있는 특징이 있습니다. 반면 유방암은 평소엔 부드러웠던 부위가 유독 단단하게 만져지고 더 두드러지는 특징이 있습니다. 또한 한쪽 유두에서 피나 분비물이 나오는 증상이 동반되기도 하며, 일부는 유두에 습진처럼 피부 문제가 생기기도 하고, 보조개처럼 유방 일부분이 들어가는 증상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이때 통증은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3. 유방 통증과 유방암의 관계 유방 통증은 유방 진료실에 오는 환자들이 가장 많이 호소하는 증상입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유방 통증이 암과 관련된 경우는 매우 적습니다. 유방암 초기 단계에 통증이 따르는 경우도 거의 없습니다. 우리나라 여성에게서 흔히 볼 수 있는 치밀유방의 경우, 유방 조직이 멍울처럼 만져지며 생리 전 유방 통증을 많이 호소합니다. 그러니 통증이 있다고 해서 바로 유방암을 의심할 수는 없으나, 진행된 유방암의 경우 단단한 멍울과 함께 통증이 생길 수 있으므로 진료를 받아 보는 편이 좋습니다. 4. 유방암 증상 유방암의 주요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 유방, 겨드랑이 멍울 - 유두에서 나오는 분비물 - 유두의 갑작스런 함몰 - 유방피부의 변화 - 유방피부의 궤양 - 유방 전체가 부풀어 올라 염증과 같은 증상 5. 진단 방법 유방에 멍울이 만져지면, 병원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유방암은 유방 진찰과 유방촬영술 혹은 초음파, 조직 검사 등을 통해 암 여부를 판단합니다. 멍울이 만져지는 경우 유방촬영, 유방초음파 등의 검사를 하는데, 두 검사에서 유방암이 의심되는 경우에는 조직검사를 하게 됩니다. 모양이 유방암 아닌 양성 종양으로 보일지라도, 빠르게 자라거나 유방암이 의심되는 모양으로 변하는 경우에는 조직검사를 할 수 있습니다. 6. 치밀유방과 검사 방법 회원님께서 유방 밀도가 높은 편(치밀유방)이라고 하셨는데, 치밀유방의 경우 유방촬영술만으로는 정확한 진단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초음파 검사가 보완적으로 사용되어 더 정확한 진단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정확한 검사 방법은 의사의 진찰 후 결정되어야 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힐오가 항상 함께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