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방에 통증은 없지만 단단한 멍울이 만져지면 암일 수도 있나요?
유방 부위에서 단단한 멍울이 손에 잡히는데, 통증은 전혀 없습니다. 혹시 이런 증상이 유방암의 초기 신호일 수 있는지 걱정이 됩니다.
유방에 만져지는 단단한 멍울에 대해 고민이 많으실 것 같습니다. 관련 정보를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1. 유방 멍울과 유방암의 관계 유방에서 멍울이 만져진다고 해서 모두 암은 아닙니다. 섬유선종과 유방낭종, 과오종 등은 유방암이 아닌데도 유방에서 멍울이 만져지는 대표적인 '양성' 종양입니다. 2. 유방암의 특징적 증상 유방암은 평소엔 부드러웠던 부위가 유독 단단하게 만져지고 유독 더 두드러지는 특징이 있습니다. 또 한 쪽 유두에서 피나 분비물이 나오는 증상이 동반되기도 합니다. 일부는 유두에 습진처럼 피부 문제가 생기기도 하고, 보조개처럼 유방 일부분이 들어가는 증상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이때 통증은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회원님께서 언급하신 '통증이 없는 단단한 멍울'은 유방암의 증상과 일치할 수 있는 부분이 있습니다. 3. 양성 종양의 특징 유방에서 흔히 만져지는 크고 작은 멍울은 섬유선종, 섬유낭종∙낭병 등입니다. 낭종(cyst)은 이름 그대로 주머니 모양의 혹을 말합니다. 진피 안에 주머니가 생겨 그 속에 투명한 황색 액체인 장액이나 지방이 들어 있는 것이지요. 물혹처럼 암이 아닌 양성 종양일 수도 있고, 악성 종양 즉 암일 수도 있습니다. 그러니 유방에서 멍울이 만져진다고 해서 반드시 암은 아닙니다. 그 중 대부분이 양성종양입니다. 4. 양성 종양의 유형별 특징 섬유선종은 멍울을 만졌을 때, 움직이는 느낌이 있으면서 통증은 없다는 점입니다. 섬유선종은 여성 호르몬의 불균형으로 인해 유선의 말단 부위가 커지면서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집니다. 유방낭종은 유방 조직에 액체가 고여 있는 상태로, 호르몬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생리 직전에 크기가 더 커지고, 만졌을 때 통증이 있습니다. 과오종은 유방 속 섬유조직, 지방조직 등이 뭉쳐 혹이 만들어지는 양성 종양으로 주로 35세 이후 여성에서 나타납니다. 만졌을 때 멍울 크기가 크고 부드러운 특징이 있습니다. 5. 적절한 진단과 검사의 중요성 멍울이 만져지는 경우 유방촬영, 유방초음파 등의 검사를 하는데, 두 검사에서 유방암이 의심되는 경우에는 조직검사를 하게 됩니다. 모양이 유방암 아닌 양성 종양으로 보일지라도, 빠르게 자라거나 유방암이 의심되는 모양으로 변하는 경우에는 조직검사를 할 수 있습니다. 조직검사를 한 것 중 일부에서만 멍울이 유방암으로 진단됩니다. 자가 진단을 통해 유방에 멍울이 만져지면, 병원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유방암은 유방 진찰과 유방촬영술 혹은 초음파, 조직 검사 등을 통해 암 여부를 판단합니다. 6. 유방암 자가진단 방법 유방암 자가진단에 좋은 날짜는 생리가 끝나고 3~5일이 지났을 때입니다. 폐경 여성은 매달 정기적인 날짜를 정해 자가진단을 하면 됩니다. 유방암 자가진단은 3단계로 나뉩니다. (1) 상의를 탈의한 상태에서 거울을 보고 유방 모양을 살핍니다. 이때 양팔은 편하게 내려놓습니다. 가슴이 대칭을 이루는지 움푹 파인 곳은 없는지 확인합니다. (2) 한 쪽 팔을 머리 위로 들어올리고 반대편 손가락 끝을 이용해서 유방을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원을 그리며 만집니다. 이때 멍울이 잡히지는 않는지 분비물이 나오는지 다른 부위를 만졌을 때와 피부의 촉감이 다르지는 않는지를 체크합니다. 누운 상태에서도 유방을 만져서 멍울과 분비물 촉감을 확인합니다. (3) 유두 부위를 손가락 끝을 이용해서 가볍게 짜봅니다. 분비물이 나오는지 살핍니다. 만약 멍울이 만져지거나 분비물이 보인다면 병원에서 검사를 받는 게 좋습니다. 7. 유방 멍울의 위치와 특징 확인 이러한 멍울들은 주로 유방 실질이 가장 많은 겨드랑이 가까운 부분에서 만져집니다. 정상적인 조직 외에 단단하면서 잘 움직이지 않는 멍울이 만져진다면 병원을 방문하여 검사를 받는 게 좋습니다. 회원님의 경우, 통증이 없는 단단한 멍울이 만져진다면 자가진단으로만 판단하기보다 전문의의 진찰과 적절한 검사를 받아보시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양성 종양일 가능성이 높지만,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병원에서 유방촬영, 초음파 등의 검사를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힐오가 항상 함께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