췌장암 말기 통증이 너무 심한데 완화의료 도움을 받을 수 있나요?
병원에서는 적극적인 항암치료보다 증상 조절에 집중하자고 하네요. 완화의료나 호스피스 진료를 받으면 어떤 식으로 통증이나 증상을 도와줄 수 있는지 알고 싶어요.
췌장암 말기의 통증 관리와 완화의료에 대해 고민이 많으실 것 같습니다. 관련 정보를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1. 췌장암과 통증의 관계 췌장암의 가장 흔한 부작용 중 하나는 통증입니다. 췌장은 복부 중간에서 흉골(복장뼈) 아래에 위치하며 몇몇 다른 기관들과 신경들에 의해 둘러싸여 있습니다. 췌장에 있는 종양이 자라면서, 그들은 종종 다른 신체 부분들을 밀어내는데, 이것은 매우 고통스러울 수 있습니다. 통증은 복부에만 한정되거나 등 아래 부분으로 옮아갈 수 있으며 상당히 불편할 수 있습니다. 그것은 또한 환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고 암 치료 중에 어려움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아프면, 잠을 잘 못 잔다. 잘 먹지 못할 수도 있고 우울해질 수도 있습니다. 2. 췌장암 통증 관리의 중요성 통증을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것은 체중 증가로 이어지고, 변비를 완화하며, 암 치료 동안 필요한 휴식을 취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첫 번째 의사 방문에서 자신이 겪고 있는 어떤 고통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입니다. 그렇게 하면, 의사가 병의 관리에 도움을 줄 수 있고 성공적인 췌장암 치료를 위한 기초를 세울 수 있습니다. 3. 완화의료와 통증 관리 방법 췌장암으로 인한 통증은 몹시 커서 흔히 마약을 사용해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통증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수술적 혹은 경피적으로 복강 신경총(celiac ganglion)의 신경 마취를 시도하거나 방사선 치료를 시행할 수도 있습니다. 암성 통증의 치료는 환자 상태, 약물 부작용 등 개인별로 고려할 요소가 많으며, 환자별 맞춤화된 치료 계획을 바탕으로 약물 치료, 중재적 통증 치료, 방사선 치료, 심리 사회적 지지 등을 포괄한 다학제적 접근이 필요합니다. 4. 약물을 통한 통증 관리 통증이 심해질 때까지 기다렸다가 약을 복용할 필요는 없습니다. 통증은 심할 때보다 약할 때 조절하기가 쉬우며, 처방 된 진통제를 규칙적으로 제시간에 복용하는 것이 효과적으로 통증을 예방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암 환자의 통증 조절을 위해 사용되는 진통제는 습관성이나 중독성을 유발하지 않기 때문에 걱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다른 치료 방법으로 통증이 줄어들면 약을 줄일 수도 있지만, 무엇보다도 규칙적인 약의 복용이 통증 조절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명심해야 합니다. 대표적인 암성 통증의 치료는 '약물'을 활용하는 것입니다. 환자의 통증 강도, 동반 질환, 전신 상태 등을 고려해 환자에게 적절한 진통제를 투여합니다. 진통제는 마약성과 비마약성으로 구분합니다. 마약성 진통제는 통증 단계와 상관없이 투여해 증상을 조절하는데, 경구 투여를 원칙으로 합니다. 물론, 적정 용량은 있습니다. 부작용 없이 통증이 조절되는 용량으로 환자마다 정도가 달라 개별화해 투여해야 합니다. 5. 중재적 통증 치료 중재적 통증 치료는 통증 전달을 억제하거나 척수강, 신경총에 약물을 투여해 통증을 조절하는 방법입니다. 대표적으로 신경차단, 척수 진통법이 있습니다. 약물치료 간 통증이 조절되지 않거나 투여에 어려움에 있는 환자에게 권장됩니다. 패혈증, 시술 부위의 감염, 혈액 응고 장애가 있다면 적합하지 않습니다. 만약 신경통이 주된 걱정거리라면, 당신은 복강신경 불록이라는 시술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 치료 동안, 여러분의 관리팀은 여러분의 등에 있는 신경에 마취제를 주사할 것입니다. 이것은 장기적인 통증 완화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6. 다학제적 접근의 중요성 국립암센터에서 2012년부터 2016년까지 췌장암과 담도계암으로 진단받은 환자 288명을 대상으로 통증클리닉 및 정신건강클리닉과 공동으로 환자 삶의 질 향상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습니다. 진행성 췌장담도암은 예후가 좋지 않은 악성종양 질환 중 하나입니다. 진단이 늦게 돼 수술적 치료가 어려운 경우가 많은 데다 발견 당시 이미 강도 높은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가 많습니다. 이들은 우울증이나 삶의 질 하락으로 고통받습니다. 연구 결과, 조기 치료군은 대조군에 비해 진단 4주 이내 통증이 평균 25% 감소했습니다. 우울증 완화에는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삶의 질 개선, 통증관리 만족도 측면에서 의미 있는 향상이 관찰되었습니다. 또한, 조기 보존적 치료에 대한 효과 평가에서도 긍정적으로 답변했습니다. 7. 지지 치료와 심신 요법 모든 사람이 고통을 덜기 위해 약을 필요로 하는 것은 아닙니다. 여러 분야의 임상의와 통합의학 전문가들로 구성된 팀의 치료를 받는 것은 또한 우울증과 피로, 불안과 같은 암 진단의 부작용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심신 이완 기술 또한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최근의 한 연구는 침술을 시도한 췌장암 환자들이 며칠 동안 통증이 완화되었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하지만 침술은 종양의학팀의 지도하에 받는 것이 안전합니다. 8. 완화의료에 대한 조언 완치를 생각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으로 실제 췌장암 환자의 20% 내외에서 수술이 가능합니다. 그러나 나머지 대부분의 환자들도 담관폐쇄로 인한 황달, 십이지장 폐쇄, 통증을 조절하기 위해 완화적 치료가 필요하며 치료를 통해 증상과 암으로 인한 부작용을 감소시켜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환자들이 마약성 진통제의 중독을 우려하는 등 진통제와 보조 진통제에 대한 정확한 지식과 정보가 없어 불안해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통증전문의·정신건강의학전문의를 포함한 다학제적 접근은 물론 전문적인 간호사팀의 지속적이고 일상적인 교육과 지지가 중요하다고 강조되었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힐오가 항상 함께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