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소암 진행성 4기 항암제 선택 관련
어머니께서 6월 난소암 3기말로 진단 받으시고 개복수술을 하셨어요. (일부 림프절 등 전이 소견이 있으셨구요..) 이후 CA125 수치는 수술전 880에서 수술 후 40으로 떨어졌고, 표준항암(카보+탁셀)을 진행하며 70, 100, 120으로 오르다가 4차 항암일자에는 79.9로 다시 떨어졌습니다. 표준항암(카보+탁셀)이 유의미한 효과가 없는 경우 백금저항성 난소암인 걸로 들었고, 4차 부터는 항암 약제를 아래의 3가지 경우로 제안받아 결정을 해야하는 상황입니다. 1. 아바스틴+케릭스 2. 케릭스 단독 3. 젬시타빈 단독 백금저항성이 있는 경우 백금 약제인 케릭스 단독은 유의미한 결과를 내기 어렵다고해서.. 아바스틴과 비백금성 약제를 사용하는 것을 고려하는 것이 좋다고 하는데.. 혹시 아바스틴+젬시타빈은 사용할 수 없는가요? 주치의는 아바스틴 사용 시 장천공이 올 수 있다고 겁나는 이야기만 하는데, 알아보니 장천공 확률이 2% 정도이고 치료를 위해서(유지를 위한 항암이 아닌..)는 아바스틴이 들어가야 유의미한 결과가 있는 것 같아서요.. 아직 어머니 상태가 괜찮은 것 같은데 주치의가 너무 비관적인 이야기만 하고 답답한 마음에 글을 적습니다..
난소암 항암제 선택에 대해 고민이 많으실 것 같습니다. 관련 정보를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1. 아바스틴(베바시주맙)에 대한 정보 아바스틴은 난소암 치료에 널리 사용되는 표적치료제로, 백금 감수성 및 백금 저항성 재발성 난소암 모두에 건강보험 급여가 적용될 수 있습니다. 실제 임상에서는 아바스틴+케릭스(PLD) 병용이 백금 저항성 난소암에서 가장 표준적 접근으로 자리 잡았으며, 아바스틴+젬시타빈 병용도 가능하지만 국내 보험 적용에는 제한이 있어 비용 부담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2. 임상 연구 결과 (백금 저항성 난소암 기준) 대표적인 AURELIA 연구에서 아바스틴+비백금 항암제 병용은, 단독 항암제 투여 대비 무진행 생존기간을 6.7개월 vs 3.4개월로 유의하게 연장시켰습니다. 이는 주치의가 제안한 아바스틴+케릭스 조합(Option 1)이 가장 강력한 임상적 근거를 갖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3. 주치의 제안 옵션의 의미 * 아바스틴+케릭스(Option 1) → 표준 치료, 가장 근거가 강함 * 케릭스 단독(Option 2), 젬시타빈 단독(Option 3) → 효과는 제한적이지만, 체력이나 혈액 상태가 좋지 않을 때 부담을 줄이는 선택지 즉, 체력이 유지되는 상황이라면 병용요법이 더 유리할 가능성이 크며, 상황에 따라 단독 요법도 안전한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4. 아바스틴+젬시타빈 병용의 현실적 제약 의학적으로는 아바스틴과 젬시타빈 병용이 가능하지만, 국내 건강보험 급여 기준은 아바스틴+케릭스 조합이 유리합니다. 따라서 주치의가 제안하지 않은 이유는 치료 효과뿐 아니라 보험 적용·비용 문제를 고려했기 때문일 가능성이 큽니다. 비급여로 진행할 경우 고액의 부담이 생길 수 있으므로, 현실적인 제약을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5. 아바스틴 부작용 – 장천공 위험 아바스틴과 관련된 장천공 발생률은 말씀하신 것처럼, 연구상 약 2% 내외로 낮은 편입니다. 다만 복부 유착, 장 침범, 수술 이력 등 개별 상태에 따라 위험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즉, 주치의의 우려는 어머님의 복부 상태를 고려한 현실적 판단일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는 치료 이득이 위험성이나 부작용보다 높은 경우가 많습니다. 6. CA125 수치 변동 해석 수술 전 880 → 수술 후 40 → 항암 중 120 → 다시 79.9로 감소한 변화는, 부분 반응(PR) 또는 안정 질환(SD) 가능성을 보여주는 긍정적인 신호일 수 있습니다. 중요한 점은 CA125 단독으로는 최종 판단을 내리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항암제 변경 여부는 반드시 영상검사(CT/MRI)에서 진행이 확인되었을 때 고려해야 하며, 현재 수치 변화만으로는 즉각적 항암 변경을 단정하기 어렵습니다. 7. 종합 및 권장 행동 * 현재 가장 근거가 강한 옵션은 아바스틴+케릭스 병용입니다. * 아바스틴+젬시타빈도 가능하지만 보험 적용에 제한이 있어 현실적 부담이 큽니다. * 장천공 위험은 낮지만, 개별 환자 상태를 고려한 주치의의 판단이 중요합니다. * CA125 수치 변동은 치료가 아직 작동할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주는 긍정적 신호일 수 있으며, 영상검사와 함께 종합 판단이 필요합니다. 말씀드린 내용은 어디까지나 연구 결과와 의료 정보를 바탕으로 드린 설명이니 참고만 해 주시고, 최종 치료 방향은 어머님의 상태를 가장 잘 알고 계신 주치의와 충분히 상의하셔서 결정하시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힐오가 항상 함께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