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암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발병률이 높은 암이다.
그렇다보니 건강검진이나 위 내시경을 받은 후 위에서 뭔가가 발견됐다는 말만 들어도 걱정이 앞선다. 특히 '위선종'은 암으로 진행될 위험이 높은 용종이라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위선종은 위에 발생하는 용종의 한 종류다. 용종은 위 점막이 비정상적으로 자라 내강으로 돌출되는 모든 융기성 병변을 말한다. 선종은 용종 중에서 상피 세포에서 기원해 암으로 진행할 수 있는 종양이다. 그래서 위선종은 위암의 전 단계로 본다. 실제 연구에 따르면 적게는 8%에서 많게는 59%까지 위암으로 진행된다.
위선종이 많게는 59%에서 암으로 변화
위선종이 생기는 원인은 위 점막이 반복적인 염증과 자극이 가해지는 것으로 보고 있다. 위내시경을 통해 위선종을 제거했어도 또 다시 생겨날 수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위선종이 발견되면 대부분 내시경으로 제거한다. 병변의 크기와 위치 등에 따라 용종절제술, 점막절제술, 점막하박리법 등을 시행한다.
그 후에는 주기적으로 검사를 받아야 한다. 검사 주기는 위선종 형태나 세포 모양에 따라 달라지지만 보통 1~2년의 간격으로 위 내시경 검사를 받는다. 무엇보다 위선종은 증상이 없기 때문에 정기적인 검사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