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세포암’ 환자가 최근 4년 새 10% 가까이 증가했다.
10명 중 4명은 60대였다. 2021년 간세포암 진료 인원은 6만 4525명으로 간암 유형별 전체 진료인원 8만 853명 중 79.8%를 차지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건강보험 진료데이터를 활용하여 2017년부터 2021년까지 ‘간세포암(C220)’ 질환의 건강보험 진료현황을 발표했다.
간세포암은 간에 생기는 원발성 간암 중에서 간세포에서 기원하는 암을 말한다. 간세포암의 주요 발생 원인으로는 간염 바이러스 감염, 간경변증, 알코올성 간질환,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이 알려져 있다. 간세포암의 증상은 서서히 나타나며 초기에는 잘 알 수 없는 경우가 많다. 초기에는 식욕부진, 체중감소, 복통, 소화장애, 복부 팽만감 등 비 특이적인 증상을 주로 호소하여 다른 질환과 감별하기 어렵다.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간세포암 진료인원은 2017년 5만 9040명에서 2021년 6만 4525명으로 5485명(9.3%)이 증가했고 연평균 증가율은 2.2%로 나타났다. 남성 환자는 이 기간 4만 5495명에서 4만 9677명으로 9.2% 증가했고 여성 환자는 1만 3545명에서 1만 4848명으로 9.6% 늘었다.
간세포암 환자의 연령대별 진료인원 구성비를 살펴보면 전체 진료인원(6만 4525명) 중 60대가 36.7%(2만 3710명)로 가장 많았고 70대가 26.3%(1만 6976명), 50대가 19.9%(1만 2861명)의 순으로 나타났다. 남성은 60대가 38.3%로 가장 많고 70대 25.0%, 50대는 21.4%였으며 여성은 60대 31.5%, 70대 30.6%, 80세 이상이 16.1% 순으로 나타났다.
인구 10만 명당 간세포암 환자의 진료인원을 연도별로 살펴보면 2021년이 126명으로 2017년 116명 대비 8.6% 증가했다. 인구 10만 명당 간세포암 환자의 진료인원을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70대가 486명으로 가장 많았다. 남성은 70대가 781명으로 가장 많고 80세 이상 660명, 60대 560명 순이며 여성 역시 70대가 240명으로 가장 많고 80세 이상이 193명, 60대가 130명 순으로 나타났다.
간세포암 환자의 건강보험 총 진료비는 2017년 4671억 원에서 2021년 5532억 원으로 2017년 대비 19.7% 증가했고 연평균 증가율은 4.3%로 나타났다.
2021년 간세포암 환자의 건강보험 총진료비 구성비를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60대가 37.2%(2060억 원)으로 가장 많았고 70대 24.3%(1346억 원), 50대 22.8%(1263억 원)순 이었으며 남성과 여성 모두 60대가 각각 38.6%(1702억 원), 31.9%(357억 원)로 가장 많았다.
간세포암 환자의 진료인원 1인당 진료비를 5년 간 살펴보면 2017년 791만 1000원에서 2021년 857만 4000원으로 8.4% 증가했다. 남성은 822만 6000원에서 888만 3000원으로 8.0% 증가했고 여성은 685만 5000원에서 753만 9000원으로 10.0% 늘었다.
2021년 진료인원 1인당 연령대별 진료비는 20대가 1137만 원으로 가장 많았고 남성은 10대가 1286만 원으로 가장 높고 여성은 20대가 1189만 원으로 가장 높았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소화기내과 최종원 교수는 "환자가 갖고 있는 간염, 간경변증 등의 기저질환과 암의 진행 정도 남아있는 간 기능을 평가해 적합한 치료를 시행하게 된다"면서 "근치적 치료로 간절제술, 간이식술, 고주파 열치료술, 에탄올 주입술을 시행할 수 있으며 진행된 병기에서는 비근치적 치료인 간동맥 색전술, 항암치료, 방사선치료를 고려할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