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 상식 노트 ∙ 대장암

위암 1기와 대장암 1기의 기준이 달라요 - 암 별 병기 분류 기준

avatar
힐오 케어팀
조회 22
추천 0
AI 요약
암 종류별로 병기 구분 기준이 다르다는 사실! 위암 1기는 점막/점막하층 국한이며 림프절 1~2개 전이 또는 근육층 침범 시, 대장암 1기는 점막하층에만 국한된 상태. 같은 1기여도 간암(2cm 이하)과 갑상선암(4cm 이하)의 크기 기준이 천차만별. 국내 6대 암의 병기 기준 총정리.

암은 생긴 위치에 따라서 특성이 천차만별이다. 그래서 암 병기를 나누는 기준도 각기 다르다. 예를 들어 간암 1기는 암 크기가 2cm 이하일 때이다. 반면 갑상선암은 암 크기가 4cm 이하일 때가 1기로 분류된다. 이처럼 같은 1기라도 암 크기를 다르게 특정하고 있다. 2017년을 기준으로 국내에서 가장 많이 발생한 6개암(위암, 대장암, 폐암, 갑상선암, 유방암, 간암)의 병기를 정리했다.



  • 위암 : 진행성 위암은 암이 근육층 이상을 침윤한 것으로 우리나라의 위암 병기는 보우만(Borrmann) 분류법을 따르고 있다.

1기 : 점막이나 점막하층에 암이 국한되며 주위 림프절 1~2개에 전이가 있거나 근육층까지 암이 침범하면서 주위 림프절에 전이가 없는 경우

2기·3기 : 근육층이나 장막층에 침습이 있거나 주위 림프절에 암세포가 퍼진 상태이지만 먼 곳까지 암이 퍼지지는 않은 경우

4기 : 암이 다른 먼 곳까지 퍼져서 위절제술이 해당이 안 되는 경우



  • 대장암 : 대장암은 다른 암들과 달리 수술 후에 정확한 병기가 나온다. 수술 전에 조직 검사, CT, MRI 등을 통해 대략적인 임상 병기를 결정할 수 있으나 정확한 최종 병기 결정은 수술 후에 이뤄진다.

0기 : 종양이 점막 층에 국한된 경우(일명 점막암 상태)

1기 : 종양의 침윤이 점막하층에만 국한돼 주변 림프절과 원격전이가 없는 상태

2기 : 종양의 침윤이 장막 층을 뚫지 않은 경우로, 주변 림프절과 원격 전이가 없는 상태

3기 : 주변 림프절 전이는 있으나 원격전이는 없는 상태

4기 : 간, 폐, 뼈 등 다른 장기로의 원격전이가 있는 상태



  • 폐암 : 폐암은 비소세포성 폐암과 소세포성 폐암으로 나뉜다. 비소세포성 폐암은 TNM 분류법으로 1~4기까지 나뉘는데, 암의 크기와 림프절 전이 유무, 다른 장기로의 전이 여부를 판단한다. 소세포성 폐암은 암세포가 급격하게 성장하고 조기에 전이되는 경향이 있어서 제한성 병기와 확장성 병기로만 나눈다.


<비소세포성 폐암의 병기>

잠재암종 : 종양이 평가가 안됐거나, 가래 검사나 기관지 내시경 세척 검사 상에는 암세포가 관찰됐지만 영상이나 기관지 내시경에서는 관찰되지 않은 경우


-1기

1A1 : 종양 크기가 직경 1cm 이하면서 림프절 전이가 없는 경우

1A2 : 종양크기가 직경 1-2cm 이하면서 림프절 전이가 없는 경우

1A3 : 종양 크기가 직경 2-3cm 이하면서 림프절 전이가 없는 경우

1B : 종양 크기가 직경 3-4cm 이하면서 림프절 전이가 없는 경우


-2기

2A : 종양 크기가 직경 4-5cm 이하면서 림프절 전이가 없는 경우

2B : 종양 크기가 직경 5cm 이하면서 같은편 폐문부까지 림프절 전이가 있는 경우, 또는 종양크기가 직경 5-7cm 이하면서 림프절 전이가 없는 경우


-3기

3A : 종양 크기가 직경 5cm 이하면서 같은편 종격동 림프절 전이가 있는 경우, 또는 종양 크기가 직경 5-7cm 이하면서 같은편 폐문부 림프절 전이가 있는 경우, 또는 종양크기가 7cm 가 넘으면서 종격동 림프절에 전이가 없는 경우

3B : 종양 크기가 직경 5cm 이하면서 반대편 종격동 림프절에 전이가 있는 경우, 또는 종양의 크기가 직경 5cm 가 넘고 같은편 종격동 림프절에 전이가 있는 경우

3C : 종양의 크기가 직경 5cm 가 넘고 반대편 종격동 림프절에 전이가 있는 경우


-4기

4A : 반대편 폐에 또다른 암이 있는 경우, 흉막이나 심낭에 결절이 있거나, 악성 흉수나 악성 심낭 삼출액이 있는 경우, 또는 한 개의 다른 장기로 전이가 있는 경우

4B : 여러 장기로 전이가 있는 경우


<소세포성 폐암의 병기>

제한성 병기 : 암이 종격동을 포함해서 폐의 한쪽에만 국한된 경우

확장성 병기 : 암이 반대편 폐나 다른 장기로 전이된 경우



  • 갑상선암 : 갑상선암은 다른 암들과 달리 암의 종류와 나이를 고려해 병기를 구분한다. 갑상선분화암(유두암과 여포암) 환자의 나이가 젊으면 예후가 좋다는 것이 증명됐기 때문이다.


<갑상선분화암(유두암과 여포암)>

1기 : 55세 미만의 환자에서 유두암과 여포암의 경우 다른 장기에 암이 퍼지지 않은 경우, 또는 55세 이상의 환자에서 원격전이, 림프선 전이, 육안적 침범이 없는 4cm 이하의 유두암과 여포암만 보이는 경우

2기 : 55세 미만의 환자에서 폐나 뼈 등 다른 장기에 암이 퍼진 경우, 또는 55세 이상의 환자에서 종양의 크기가 4cm 이하이며, 구역 림프절 전이가 있으나 다른 장기로의 원격 전이가 없는 경우, 또는 종양의 크기가 4cm 이상이거나 갑상선 주위 피대근을 침범하였지만, 주위 림프절 전이와 관계없이 다른 장기로의 원격 전이는 없는 경우

3기 : 종양의 크기와 관계없이 종양이 갑상선 피막을 넘어서 피부 밑 연조직, 후두, 기관, 식도 또는 되돌이 후두 신경으로 침범했으면서, 주위 림프절 전이와 관계없이 다른 장기로의 원격 전이는 없는 경우

-4기

4A : 종양의 크기와 관계없이 종양이 갑상선 피막을 넘어서 척추 앞 근막을 침범한 경우, 또는 경동맥이나 종격동 혈관 주위를 침범했으면서, 주위 림프절 전이와 관계없이 다른 장기로의 원격 전이는 없는 경우

4B : 종양의 크기나 림프절 전이와는 관계없이 다른 장기로의 원격 전이가 있는 경우



  • 유방암 : 유방암 병기는 암의 크기, 액와부(겨드랑이) 림프절 전이 여부, 목의 림프절 전이를 포함한 뼈·폐·간 등의 전신 전이 여부로 결정

0기 : 비침윤성 유방암(상피내암)

1기 : 종양 크기가 2cm 미만이면서 림프절 등으로 전이가 없는 경우

2기 : 종양 크기가 2~5cm 이면서 심하지 않은 림프절 전이가 있는 경우, 또는 림프절 전이는 없지만 종양 크기가 5cm 이상인 경우

3기 : 종양 크기가 5cm 미만이지만 림프절 전이가 심한 경우, 또는 종양 크기가 5cm 이상으로 크고 림프절 전이가 있는 경우

4기 : 폐나 뼈, 간 등 다른 장기로 전이가 된 경우



  • 간암 : 간암은 'modified UICC(mUICC)'라는 병기 체계를 기본으로 하고 있다. mUICC 병기는 종괴의 크기와 개수, 혈관 침범 유무에 따라 결정된다.

T1 : 암이 1개이고 암의 크기가 2cm 미만이며 혈관 침범이 없는 경우

T2 : 크기가 2cm 미만인 1개의 암이 있으나 혈관 침범이 있는 경우, 또는 1개의 암의 크기가 2cm 이상이지만 혈관 침범이 없는 경우, 또는 2개 이상의 암이 있지만 크기가 2cm 미만이고 혈관 침범이 없는 경우

T3 : 암이 1개이지만 크기가 2cm 이상이고 혈관 침범이 있는 경우, 또는 암 크기가 2cm 미만 이지만 암의 개수가 2개 이상이고 혈관 침범이 있는 경우, 또는 혈관 침범은 없으나 암이 2개 이상이고 크기가 2cm 이상인 경우

T4 : 암이 2개 이상이고, 크기도 2cm 이상이며 혈관을 침범한 경우

출처 : 암 전문 언론 캔서앤서 기사
이 글이 도움이 되었다면 추천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