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 상식 노트 ∙ 위암

위암 수술 받았다면 '이것' 걸릴 위험 높아

avatar
힐오 케어팀
조회 28
추천 0
AI 요약
위암 수술 환자는 일반인보다 골다공증 발병 위험이 2.6배 높으며, 수술 후 10년 경과 시 90% 이상이 진단됐습니다. 특히 전절제술 환자, 고령, 여성, 체질량지수가 낮은 사람들이 고위험군. 전문가들은 위절제술 환자는 여성 10년, 남성 15년 일찍 골밀도 검사를 시작해야 한다고 경고합니다.

위암 수술을 받은 환자는 '골다공증'에 걸릴 위험이 일반인의 2.6배나 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서울성모병원 암병원 위암센터(위장관외과) 송교영(로봇수술센터장 교신저자) 성빈센트병원 위장관외과 박기범 교수(제1저자) 교수 연구팀은 최근 위암 수술 후 골다공증 위험도를 분석하는 프로그램을 개발 위암 수술 환자는 골다공증에 걸릴 위험이 높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연구팀은 2009년 1월부터 2018년 12월까지 10년간 서울성모병원에서 원발성 위암으로 위절제술을 받은 환자 522명과 이 병원 건강검진센터에서 골다공증 검사를 받은 일반인 2088명의 임상적 정보를 활용해 골다공증 위험도 예측모델을 노모그램 방식으로 개발했다. 노모그램은 임상정보를 분석해 추출한 지표의 수치를 점수화해 위험도를 쉽게 예측할 수 있도록 만든 프로그램이다.

연구 결과 골다공증 진단율은 위암 수술 환자 50.2%(522명 중 262명), 일반인 19.3%(2088명 중 403명)로 위암수술 환자의 진단율이 유의하게 높았다. 특히 위암 수술 환자의 경우 시간이 지날수록 골다공증 발병 빈도가 증가해 수술 후 10년 경과 시점에는 90% 이상에서 진단됐다. 골다공증 발생은 ▲전절제술 ▲고령 ▲여성 ▲체질량지수가 낮은 이들에게서 의미있게 높았다.

또 연구팀은 골다공증 고위험군 지표를 이용해 만든 예측모델을 검증하기 위해 성빈센트병원에서 위암 수술을 받은 환자 191명의 데이터를 이용해 예측모델의 성능을 확인했다. 예측 모델에서 나온 결과를 보면 위절제술을 받은 경우 50대부터 골밀도 검사를 받아야 한다는 것. 문제는 현재 골밀도 검사의 급여 기준은 여성 65세 이상 남성 70세 이상으로 돼 있다. 연구팀은 골다공증이 골절이나 만성통증뿐만 아니라 장기적으로 삶의 질을 저하시키고 사망률을 높일 수 있는 질환인 만큼 위절제술을 받은 환자는 여성의 경우 평균 10년 남성의 경우 평균 15년 일찍 골밀도 검사를 시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영국수술저널 오픈(British Journal of Surgery Open)’에 게재됐다.

출처 : 암 전문 언론 캔서앤서 기사
이 글이 도움이 되었다면 추천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