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 용어사전

유전성 암 vs 가족성 암

avatar
힐오 케어팀
조회 47
추천 1
AI 요약
유전성 암은 부모로부터 물려받은 유전자 돌연변이로 발생하며, 대장암·유방암·난소암에서 5~10%가 유전적 원인과 관련됩니다. 반면 가족성 암은 같은 환경과 식습관 등 환경적 요인으로 발생합니다. 가족 내 암 발생이 많다면, 유전인지 생활습관인지 확인하고 적절한 예방책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가족 중, 암 환자가 많으면 유전 때문일까?


‘유전성 암’과 ‘가족성 암’을 혼동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 둘은 비슷해 보이지만 다르다. 보통 유전성 질환은 부모한테 물려받는 것을 말한다. 태어날 때부터 특정 유전자의 돌연변이를 지니면 암이 생길 확률이 높다. 암 발병률 높이는 유전자는 자손에게 유전될 수 있는데, 이렇게 발생한 암을 유전성 암이라고 한다.


유전성 암은 대장암, 유방암, 난소암 등에서 흔히 나타난다. 이들 종양의 전체 발생자 중 5~10%가 유전적 원인과 관련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비교적 드문 유전성 암으로는 다발성 내분비종양 증후군(우리 몸의 호르몬을 만드는 장기인 부신, 뇌하수체, 갑상선 등에 종양이 생기는 질환), 신경섬유종증(신경에 종양이 발생하는 질환), 망막모세포종(어린아이의 눈에 발생하는 종양) 등이 있다.



가족성 암은 환경적인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암을 말한다. 같은 환경에서 같은 음식을 먹는 가족 구성원들에게 같은 암이 발생하는 경우를 말한다. 보통 아이가 비만이면 부모가 비만인 경우가 많고, 짜게 먹는 식생활을 가진 가정을 보면 가족들이 모두 짜게 먹는 식습관을 갖고 있을 때가 많다. 이런 생활 습관은 대개 가족들이 공유하고 있어서 가족내 암 발생 확률이 높아지는 것이다. 가족성 암인 경우, 가족들이 공유하는 안 좋은 생활 습관을 바로잡는 것이 중요하다. 그렇게 해야 암을 예방할 수 있다.

출처 : 암 전문 언론 캔서앤서 기사
이 글이 도움이 되었다면 추천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