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부 비만이 있는 젊은층은 대장암 발병 위험이 높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대사증후군은 대표적인 생활 습관 질병으로 복부 비만과 높은 중성지방혈증, 낮은 고밀도콜레스테롤(HDL), 혈압상승, 공복혈당장애 등 5가지 항목 중 3개 이상 해당하는 것을 말한다. 서울대병원 강남센터 진은효 교수(소화기내과), 분당서울대병원 이동호 교수(소화기내과), 숭실대 정보통계보험수리학과 한경도 교수 공동연구팀은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를 이용, 대사증후군 상태에 따른 젊은 대장암의 발생 위험을 분석했다.
연구진은 2009년부터 2010년까지 국가건강검진에 참여한 성인 977만명의 건강 상태를 2019년까지 추적 관찰했다. 그 결과, 50세 미만의 성인에서 대장암이 8320명(0.15%)에서 발생했다. 50세 미만의 성인에서 대사증후군이 있는 사람은 정상인에 비해 젊은 대장암 발병 위험이 20% 높아졌고, 대사증후군을 진단하는 5가지 항목이 하나씩 증가할 때마다 발병 위험도가 7%, 13%, 25%, 27%, 50% 로 증가했다. 특히 복부 비만이 가장 강력한 단일 위험인자로 나타났다. 심한 복부비만이 있는 경우(허리둘레: 남성 100㎝, 여성 95㎝이상) 정상에 비해 젊은 대장암의 위험도가 53%까지 상승하고, 고도비만(BMI 30㎏/㎡)에서도 정상에 비해 젊은 대장암의 위험도가 45%까지 상승했다.
젊은 대장암은 특히 좌측 대장(원위부 대장, 직장)에서 많이 발생하는 것이 특징적인데, 이 연구에서는 대사증후군의 상태에 따라 정상과 비교해 원위부 대장암(1.37배)과 직장암(1.32배)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이번 연구는 소화기 분야 최고 권위 저널인 'Gastroenterology' 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