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노바티스(대표 조쉬 베누고팔)는 "전이성 유방암 치료제 키스칼리(리보시클립)의 임상적 유용성과 치료제로서의 가치가 대한종양내과학회(KSMO Korean Society of Medical Oncology) 학술대회 런천 심포지엄에서 재조명됐다"고 밝혔다.
‘호르몬 수용체(HR) 양성 인간상피세포성장인자수용체2(HER2)음성(HR+/HER2-) 전이성 유방암 치료 환경: CDK4/6 억제제’를 주제로 진행된 심포지엄에서 MONALEESA 임상연구의 배경과 의미, 그 가치를 재조명하며 삶의 질 개선 평가 결과도 함께 소개됐다.
키스칼리 허가의 배경이 된 MONALEESA-7 임상연구는 폐경 전 전이성 유방암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유일한 글로벌 3상 임상 연구로, 1차 치료 환자를 대상으로 하며, 특히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 환자 30%가 포함되어 있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가진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내분비요법 단독치료 대비 사망위험을 29% 감소시키며 생존기간 연장과 삶의 질 개선을 동시에 입증했다. 또한 MONLAEESA-7을 비롯한 MONALEESA-2, 3 임상 연구에 참여한 아시아 환자의 데이터만을 분석한 결과, 내장 전이가 있는 고위험군 환자에서도 무진행 생존기간(Progression Free Survival PFS) 개선 효과를 확인했다. 키스칼리와 내분비요법 병용요법 투여군에서 PFS는 25.3개월(95% CI 23.8-27.7)로, 위약군의 16.5개월(95% CI 14.5-18.2)에 비해 우월한 것으로 나타났다(HR 0.54 [95% CI 0.36-0.82]). 그 외에도 키스칼리는 CDK4/6 억제제 중에서도 CDK4 억제 효과가 높다는데 차이점이 있다고 소개했다. 유방암의 주요 CDK이자 질병 진행의 주요한 원인으로 알려져 있는 CDK4를 CDK6 보다 8배 더 억제하며, 세포 주기진행 및 증식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킨다는 것이다. 연사로 참여한 서울대학교병원 혈액종양내과 임석아 교수는 “임상연구를 통해 폐경 전 전이성 유방암 환자의 1차 치료에 있어 생존기간 연장 및 삶의 질 개선이 입증된 키스칼리는 그간 적절한 치료제가 없었던 국내 전이성 유방암 환자에게 새로운 치료옵션으로 희망이 되고 있다”면서 “환자들이 그 임상적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하루빨리 보험 급여가 돼 국내 유방암 환자들이 적절한 치료를 받을 수 있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한편, 키스칼리는 폐경 전 환자의 1차 치료에서 생존기간 연장과 삶의 질 개선 효과를 인정받아 유럽종양학회(ESMO European Society for Medical Oncology)에서 개발한 MCBS(Magnitude of clinical benefit scale)에서 CDK4/6 억제제 중 유일하게 가장 높은 점수인 5점을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