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 연구소 ∙ 간암/담관암

담관암 항암 치료, 반응할지 안 할지 예측 가능

avatar
힐오 케어팀
조회 26
추천 0
AI 요약
국내 연구진이 담관암 환자의 항암제 치료 반응을 예측할 수 있는 주요 인자를 발견했습니다. KRAS 돌연변이나 유전자 복제수 변이가 많은 환자의 95%는 면역 항암제에 반응하지 않았으며, T세포 밀도가 높은 환자는 면역 항암제 효과가 좋았습니다. 이번 연구로 담관암 맞춤형 치료의 길이 열릴 전망입니다.

증상이 잘 나타나지 않고 치료가 쉽지 않아, 간암과 함께 ‘침묵의 살인자’로 불리는 담관암 환자의 항암제 치료 반응을 예측할 수 있는 주요 인자를 국내 연구진이 밝혔다.



연세대 의대 박영년 병리학 교수, 최혜진·김민환 종양내과 교수, 윤지훈 약리학 교수, 일산병원 김장미 병리과 교수 등 공동연구팀은 담관암의 유전자 분석을 통해 면역 항암제, 일반 항암제 치료 반응을 예측할 수 있는 주요 인자를 찾아냈다고 밝혔다.


담관암은 국내 암 사망률 6위로, 예후가 좋지 않고 개인별 암 진행 정도의 차이가 크다. 유방암, 폐암, 흑색종 등 다른 암은 생존율이 높아졌지만, 담관암은 발병 기전과 원인이 명확하지 않고 조기 검진 방법도 없다. 또 반응 예측 바이오마커가 없어 면역항암제에 효과가 있는 환자를 선택해 임상연구를 진행할 수 없었다. 공동연구팀은 연세암병원 췌장담도암센터에 내원한 재발성, 전이성, 절제불가능 담관암 환자 121명을 대상으로 종양 ‘차세대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법(NGS)’을 시행한 결과 KRAS 유전자 돌연변이, 유전자 복제수 변이, T세포(면역세포) 밀도가 면역 항암제 반응을 예측하는 주요 인자로 분석됐다고 밝혔다. 대부분의 담관암 환자에서 KRAS, HER2, SMAD4 등 다양한 종류의 유전자 돌연변이가 확인됐다. 특히 간내담관암 환자는 BAP1, IDH1/2 유전자 돌연변이가 많은 소담관 유형과 KRAS, SMAD4 유전자 돌연변이가 많은 대담관 유형으로 나눠졌고, 대담관 유형이 소담관 유형보다 항암제 반응이 더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주목받는 항 PD-1/PD-L1 면역 관문 억제제(면역 항암제)로 치료 받은 48명의 환자를 분석한 결과, 병리 조직 검사상 종양으로 침투하는 T세포가 많은 환자에서 인체 면역 세포의 활성을 통해 암세포를 공격하는 치료제인 면역 항암제 반응이 좋았다. 반면 KRAS 돌연변이가 있거나, 많은 유전자 복제수 변이(유전체에 존재하는 반복되는 유전자의 수가 개체별로 다르게 나타나는 현상)를 가진 환자의 약 95%는 면역 항암제 치료에 반응하지 않았고, T 면역 세포 밀도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면역 항암제의 반응이 유전자 돌연변이와 병리 검사상 T 세포의 침윤 밀도에 따라 달라진다는 사실을 확인했다"며 “담관암에서 면역 항암제 효과를 예측할 수 있는 바이오마커(몸 속 세포·혈관·단백질·DNA 등을 이용해 몸 안의 변화를 알아내는 생화학적 지표)와 함께 다양한 병합 요법 개발 가이드를 제시해 정밀 의료를 실현할 수 있는 밑거름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간암 분야 세계 최고 의학 저널 '헤파톨로지'에 실렸다.

출처 : 암 전문 언론 캔서앤서 기사
이 글이 도움이 되었다면 추천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