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 연구소 ∙ 유방암

유전단백체 분석 기술로 차세대 유방암 세포치료제 만든다

avatar
힐오 케어팀
조회 22
추천 0
AI 요약
베르티스와 이엔셀이 유전단백체 분석 기술 기반 차세대 유방암 세포치료제 개발 협약을 체결했습니다. 기존 표적 항암제의 한계를 뛰어넘는 이 세포치료제는 근본적 치료가 가능하고 효과 지속시간이 월등해 '꿈의 치료제'로 불립니다. 양사는 유방암 줄기세포 아형별 최적 신약 후보물질 발굴과 환자 유래 세포주로 효능 검증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체내 단백질을 통해 생명현상을 연구하는 프로테오믹스(Proteomics) 기반 조기 진단 기술 개발 기업 베르티스(대표: 노동영, 한승만)는 세포치료제 개발 및 위탁개발생산(CDMO) 기업 이엔셀(대표: 장종욱)과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유전단백체(Proteogenomic) 분석 기술 기반의 차세대 유방암 세포치료제를 개발하기로 했다.



양사는 베르티스의 유전단백체 분석 기술을 활용해 유방암 줄기세포의 아형을 분석하고 이에 따른 아형별 최적의 신약 후보물질을 발굴할 계획이다. 또한, 이엔셀의 세포치료제 개발 기술과 결합하여 차세대 유방암 세포치료제를 개발하고 유방암 환자 유래 세포주를 활용한 효능 검증으로 임상에 적용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유방암 치료제 시장은 표적 항암제가 대세다. 암세포만 선택적으로 공격하기 때문에 정상세포에 대한 부작용이 적고 항암 효과가 좋기 때문이다. 하지만 장기 복용 시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반면 세포치료제는 질병에 대한 근본적인 치료가 가능하고 치료 효과와 지속시간이 월등해 차세대 치료제로 주목받고 있다. 베르티스는 유방암 진단 기술을 개발하며 쌓은 노하우를 바탕으로 아형별 유전단백체 분석을 통해 최적의 세포치료제 후보 물질을 발굴하는 것이 목표다. 국내 세포치료제 CDMO 시장의 선두주자인 이엔셀과 협력함으로써 이 과정이 더욱 빠르게 진행될 것으로 보고 있다. 베르티스 한승만 대표는 “우수한 치료제 개발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이엔셀과의 협업으로 진단에이어 치료제 영역까지 파이프라인을 확장할 수 있게 됐다”며 “’꿈의 치료제’로 불리는 세포치료제가 개발된다면 유방암으로 더 이상 고통받지 않는 새로운 시대가 열릴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엔셀 장종욱 대표는 “유방암과 같은 고형암을 위한 세포치료제는 아직 많은 연구자들의 도전 분야”라며 “성공적인 치료제 개발을 위해 당사의 기술력과 노하우를 적극 활용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베르티스는 주요 검진센터를 통해 유방암 조기 진단 기술 ‘마스토체크’를 선보이고 있으며, 자체 프로테오믹스 기술력을 활용해 심혈관질환, 췌장암, 난소암 등의 진단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출처 : 암 전문 언론 캔서앤서 기사
이 글이 도움이 되었다면 추천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