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 연구소 ∙ 위암

여성 위암, '미만형' 많고 심혈관 합병증 위험 크다

avatar
힐오 케어팀
조회 20
추천 0
AI 요약
분당서울대병원 연구팀이 위암 환자 2983명 분석 결과, 여성은 발견이 어려운 '미만형 위암' 비율이 남성보다 2배 높고(50.5% vs 25.9%), 40세 미만 여성은 무려 90%가 미만형! 3기 이상 여성 환자는 남성보다 예후가 나쁘고 심뇌혈관 합병증으로 사망할 위험도 더 높아 성별 맞춤 치료의 중요성 입증.

세계적으로 남녀 성별에 따라 질병의 발생원리와 양상, 예후 등이 다르기 때문에 접근법도 달라야 한다는 '성차의학'이 주목받고 있는 가운데, 국내연구 결과 남성이냐 여성이냐 성별에 따라 위암의 증상과 합병증 위험 등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분당서울대병원 소화기내과 김나영 교수 연구팀(제1저자 소화기내과 최용훈 교수)이 위암 수술 환자의 대규모 데이터를 분석해 성별에 따른 위암의 병태생리학적 특성과 예후 차이를 규명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여성 위암 환자는 발견이 어려운 '미만형 위암' 비율이 남성보다 높고, 3기 이상에서 남성보다 예후가 나쁘며 심뇌혈관 합병증에 의한 사망 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는 '세계 소화기학 저널' 에 게재됐다. 암 연구에서 성차 의학의 역할은 점차 중요해지고 있는 상황이다. 남녀 성호르몬 등에서 비롯된 혈관 발생이나 염증 조절, 면역 체계 등 인체 시스템의 근본적인 차이를 질환 특성이나 양상과 함께 이해한다면 좀 더 근원적이고 개별화된 치료법에 다가설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위암에서는 성별을 주요한 변수로 상정하고 질환 특징을 분석한 연구가 아직까진 적은 편이다. 이에 연구팀은 분당서울대병원에서 위암 판정 및 수술을 받은 환자 2983명의 기록을 분석해 남녀에 따른 위암의 병태생리학적 특성과 예후를 비교하는 연구를 수행했다.


위암은 크게 '장형'과 '미만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위 내벽에 덩어리를 형성하는 일반적인 형태의 암이 장형, 위 점막 아래에서 넓게 퍼져나가는 위암을 미만형이라고 한다. 미만형은 내시경으로 진단이 어려운 만큼 발견 시 중증에 이른 경우가 많아 장형에 비해 예후가 나쁜 편이다. 연구 결과 여성의 경우 미만형 위암을 비롯한 위 체부암의 비율이 유의미하게 높고, 남성에서는 장형 및 위 전정부암이 두드러지는 것으로 확인됐다. 전체 표본에서 위암 환자 수는 남성이 여성의 두 배에 이르지만, 여성의 미만형 위암 비율(50.5%)이 남성(25.9%)을 크게 상회하며 총 미만형 위암 환자 수에서는 남녀가 대등한 수준이었다. 또한 40세 미만에서는 남녀 모두 미만형 위암의 비율이 장형보다 높았지만, 여성에서는 그 비율이 90% 이상에 육박할 정도로 눈에 띄는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양상은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장형의 비중이 늘어나며 달라졌다. 남성에서 미만형의 비율이 빠르게 감소해 50세 이후부터는 장형이 다수를 차지하는 반면, 여성은 60세가 넘어야 장형의 비율이 미만형을 넘어서는 차이도 있었다.


연구팀은 "조기 암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던 남녀 생존율이 3기 이상의 진행성 위암부터는 차이가 벌어지며 여성 환자들의 예후가 더 나쁘다"면서 "남성 위암 환자에서 사망 원인이 다른 장기의 암이나 호흡기 계통의 합병증이 눈에 띈 반면, 여성에서는 심뇌혈관 합병증에 인한 사망이 더 많았다"고 밝혀 성별에 따른 다양한 병태생리학적 특성과 예후 차이도 규명해냈다. 김나영 분당서울대병원 소화기내과 교수는 "연구를 통해 위암의 위치나 조직형 사이의 관계, 예후는 물론 수술 치료 후 합병증 등 거의 모든 면에서 남녀 및 연령에 따른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며 "후속 연구를 바탕으로 이러한 차이의 근원이 무엇인지 밝혀나간다면 향후 임상 현장에서 성별 및 성별에 따른 신체 특성을 고려한 정밀 의료를 구현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출처 : 암 전문 언론 캔서앤서 기사
이 글이 도움이 되었다면 추천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