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 연구소 ∙ 간암/담관암

재발한 간암, 복강경 수술 가능

avatar
힐오 케어팀
조회 37
추천 1
2025.05.30
AI 요약
재발 간암에도 복강경 수술이 가능하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삼성서울병원 연구팀이 50명의 환자를 분석한 결과, 3cm 이하 크기의 재발 간암은 복강경 수술이 가능했으며, 개복 수술보다 입원 기간이 짧고(5.5일 vs 9.3일), 수술 시간도 짧았다(125분 vs 168분). 생존율에는 차이가 없었지만 무진행 생존기간은 더 길었다.

간암이 재발한 경우에도 복강경 수술을 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그동안 재발 간암의 경우, 간 모양 변형과 주변 협착 등으로 인해 개복 수술이 이뤄졌다. 삼성서울병원 암병원 간암센터 이식외과팀은 재발 간암의 크기가 3cm이하고, 최초 발병 부위와 반대편에서 재발한 경우 첫 수술이 개복 수술이었어도, 복강경 수술이 가능하다고 발표했다. 간암센터 이식외과 전문의 4명은 2017년부터 2019년 사이 간암이 재발해 수술이 필요했던 환자 50명을 분석했다. 연구팀은 환자들을 복강경 수술 환자(25명)와 개복 수술 환자(25명)로 나누고 환자들의 특징과 더불어 예후를 역확률 치료가중치(IPTW)를 적용해 비교 분석했다.


환자들의 평균 나이는 61세 전후로, 암의 병기나 미세혈관 침윤 정도, 간문맥 침윤 정도, 간경변 정도와 같이 수술 결과에 영향을 줄 만한 요소들의 차이는 서로 없었다. 다만 개복 수술을 받은 환자의 암 크기(1.9cm)가 복강경 수술을 받은 환자(1.5cm)보다 상대적으로 컸던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팀에 따르면 복강경 수술을 받은 환자와 개복 수술을 받은 환자의 전체 생존율을 3년여에 걸쳐 추적한 결과, 두 그룹간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무진행 생존기간을 따로 분석했을 때에는 개복 수술 보다 복강경 수술을 받은 환자의 성적이 월등히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환자들의 평균 재원 일수도 복강경 수술이 평균 5.5일로, 개복 수술 환자의 재원 기간(9.3일) 보다 짧았다. 이는 수술 후 회복이 빠르다는 의미이다. 실제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아니었지만 수술 시간도 복강경 수술이 평균 125분으로, 개복 수술(168분) 보다 40여분 가까이 덜 소요됐다. 수술 중 출혈 역시 복강경 수술은 140mL 였던 데 반해, 개복 수술은 212mL로 차이를 보였다. 이번 연구 교신저자인 이식외과 김종만 교수는 “연구 대상 환자 규모가 적어 추후 데이터를 더 쌓아 정교하게 대상군을 가려낼 필요가 있지만 어떤 환자에게 유리할 지 기준을 제시할 수 있게 됐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면서 “앞으로 술기를 더욱 고도화하여 더 많은 환자들이 더 적은 부담으로 재발한 간암도 복강경으로 수술 받을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외과 수술 분야 국제 학술지 'Updates in Surgery' 에 게재됐다.

출처 : 암 전문 언론 캔서앤서 기사
이 글이 도움이 되었다면 추천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