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 연구소 ∙ 위암

고령·재발 위암 환자, 단일 항암 요법도 효과 충분

avatar
힐오 케어팀
조회 26
추천 0
AI 요약
아주대병원 연구팀이 687명의 전이성·재발성 위암 환자를 분석한 결과, 70세 이상 고령 환자는 복합항암(9개월)과 단일항암(8개월)의 생존기간 차이가 유의미하지 않았습니다. 항암 부작용에 취약한 고령 환자들에게 부담 적은 단일 요법으로도 충분한 효과를 볼 수 있다는 희소식이 학계에 발표됐습니다.

70세 이상 고령이거나, 전이·재발된 위암 환자들은 단일 항암 치료도 고려해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아주대병원 종양혈액내과 안미선·강석윤·최진혁 교수팀은 2004년 1월부터 2014년 12월까지 11년 동안 아주대병원에서 전이성 또는 재발성 위암으로 진단 받고, 1차 항암 치료를 시작한 687명을 대상으로 생존 기간과 예후 인자를 분석했다. 그 결과 75.8% 에 해당하는 521명이 복합 요법 치료를 받았고, 중앙생존기간(대상이 되는 환자들의 생존기간을 순서대로 나열했을때 중간값)이 전체적으로 복합 요법은 11개월, 단일 요법은 8개월로, 복합 요법의 생존 기간이 유의미하게 더 길었다.


반면 예후 인자들을 분석한 결과, 고령 환자 전신 수행상태가 저하된 환자, 항암 치료 전에 수술적 절제를 시행 받은 환자, 혈소판-림프구 비가 높은 환자의 경우 등에서 두 치료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특히 연령대(70세 이상과 70세 미만)별로 분석한 결과를 살펴보면, 70세 이상 환자군에서 중앙생존기간이 복합 요법은 9개월, 단일 요법은 8개월로 생존율 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즉 70세 이상 고령 환자나 전신 수행상태가 저하된 환자 등에서는 단일 요법이 복합 요법과 비슷한 치료효과를 낼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지금까지 재발하거나 전이된 위암은, 완치보다는 생존율을 높이거나 증상을 완화시키는 항암 치료를 시행해왔다. 그리고 대부분 2가지 종류의 항암제를 함께 사용하는 복합 요법을 받았다. 안미선 교수는 "이번 연구는 독성이 많은 복합 요법을 잘 견디지 못하거나 합병증 발생비율이 높은 고령이나 전신 수행상태가 저하된 환자의 경우 복합 요법이 아닌 단일 요법이 효과적인 치료가 될 수 있음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국제 암 학술지 ‘BMC Cancer’에 게재됐다.

출처 : 암 전문 언론 캔서앤서 기사
이 글이 도움이 되었다면 추천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