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 가이드 ∙ 간암/담관암

B형간염 완치 환자, 음주 등 4가지 요인 있으면 간암 위험 증가

avatar
힐오 케어팀
조회 48
추천 0
AI 요약
B형간염이 완치된 환자도 간암 위험이 있다! 가톨릭대 연구팀이 30년간 1443명 환자 추적 결과, ▲고령 ▲간경변 ▲중등도 이상 음주 ▲간암 가족력이 있으면 간암 발생률이 높았다. 세계 최초로 개발된 예측 모델의 정확도는 최대 0.835로 매우 우수. 이제 완치 후에도 이 4가지 요인 있다면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

B형 간염이 완치돼 표면항원이 소실됐어도 간암 가족력이 있거나 음주량이 많은 경우 간암 위험이 증가한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가톨릭대 소화기내과 서울성모병원 장정원(교신저자)·은평성모병원 양현(제1저자) 교수팀은 B형간염 표면항원이 소실된 환자의 간암 발생 위험도 예측 모델을 세계 처음으로 개발했다고 발표했다.

연구진은 가톨릭중앙의료원 산하 병원에서 진료받은 1443명의 B형간염 표면항원이 소실된 만성 B형간염 환자들을 30년간 추적 관찰하며 대규모-장기 코호트를 이용해 연구했다.  

그 결과 ▲B형간염 표면항원 소실 당시 나이 ▲간경변증 유무 ▲중등도 이상 음주(남성은 하루 2잔, 여성은 하루 1잔 초과) ▲간세포암 가족력 등이 B형간염 표면항원 소실 후에도 간암 발생의 위험인자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앞서 확인한 4가지 위험인자를 이용해 간세포암 발생 위험도 예측 모델을 개발했고 시간-의존 ROC(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곡선으로 평가한 5년, 10년, 15년 예측도가 각각 0.799, 0.835, 0.817로 나타났다. ROC 곡선은 성능평가지표로 ROC곡선 영역이 0.8 이상인 경우 우수한 성능의 예측모델로 평가된다. 또한 예측의 정확성을 확인하는 내부검증(internal validation)에서도 유효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간장(肝腸)학 분야 최고 권위의 국제 학술지 ‘간장학 저널(Journal of Hepatology)에 게재됐다.

출처 : 암 전문 언론 캔서앤서 기사
이 글이 도움이 되었다면 추천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