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 가이드 ∙ 대장암

암세포 죽이는 ‘지황’ 제대로 알고 먹자

avatar
힐오 케어팀
조회 40
추천 0
AI 요약
지황에 함유된 다당류가 면역세포를 활성화해 암세포를 선택적으로 공격한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습니다. 실험에서 RGP 주사 후 암세포 크기가 3분의 1로 감소했으며, 가공방법에 따라 생지황, 건지황, 숙지황으로 나뉘어 각각 다른 효능을 보입니다. 생지황과 건지황은 체내 열을 내리고, 숙지황은 보약 효과가 있어 차나 죽으로 섭취하면 좋습니다.

지황은 조선 왕실의 보약인 경옥고를 비롯해 각종 보약 처방에 빠지지 않는 작물로, 산본초경에서는 땅의 기운을 오롯이 품고 있다는 의미로 지수, 즉 ’ 땅의 정수’로 기재하고 있다.



지황에는 암세포를 죽이도록 유도하는 면역 보조제 물질이 함유돼 더욱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창환 울산대 의대 교수, 곽민석 부경대 교수와 진준오 중국 푸단대 교수 공동 연구팀은 지황에 들어있는 다당류가 면역 세포를 활성화해 암세포를 선택적으로 죽일 수 있음을 발견했다고 밝힌 바 있다. 연구팀에 따르면 지황 추출 다당류는 동물실험 결과, 면역 활성을 통해 피부암과 대장암의 성장을 억제하고 말초 조직의 염증과 같은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장암과 피부암을 각각 앓은 쥐에게 지황 속 다당류인 ‘RGP(Rehmannia glutinosa polysaccharide)’를 주사하자, 1주일 뒤 주사를 맞지 않은 쥐에 비해 암세포 크기가 3분의 1 정도로 줄었다. RGP가 암세포만 골라 죽이는 면역 세포인 T세포의 증식 유도를 확인한 것이다. 이처럼 암세포 사멸 유도에 효과가 있는 약용 작물인 지황에 대해 더 자세히 알아보자.


지황은 가공 방법에 따라 이름과 효능이 달라진다. 생 것은 생지황, 말린 것은 건지황, 술 등을 넣고 쪄서 말린 것은 숙지황이다.

  • 생지황, 건지황: 두 가지 모두 성질은 차고 맛은 달지만, 생지황이 건지황보다 약간 더 쓰다. 심장, 간, 신장 기능이 떨어져 발생하는 증상을 치료하며 체내 열을 내려주면서 체액을 보충하는 역할을 한다. 지황에는 카탈폴, 스타키오스 등의 성분이 함유돼 있는데, 특히 카탈폴은 이뇨, 혈당 강하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생지황은 눈 건강에 도움을 준다. 동의보감에는 ‘자고 일어나면 눈에 핏발이 서고 붓는 등의 증상’을 치료하기 위해 열을 내려주는 식이요법으로 지황죽을 소개하고 있다. 지황죽은 생지황즙에 재운 멥쌀로 쑨 묽은 죽이다. 죽의 묽기는 물양으로 조절 가능한데 동의보감에서는 묽게 쑤어 먹을 것을 권한다.
  • 숙지황: 성질은 약간 따뜻하고 맛이 달다. 간 신장 기능이 저하돼 생기는 증상을 치료하며 혈액을 포함한 체액을 보태므로 보약으로 쓰이는 경우가 많다. 숙지황의 성분은 생지황, 건지황과 비슷하지만 찌고 말리는 과정이 반복되면서 스타키오스와 카탈폴 함량은 줄고 단당류 등이 생성된다. 생지황, 건지황보다 말초순환장애 개선과 골 형성 촉진 작용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숙지황은 가슴 두근거림과 불안 증세를 호전시키는데 도움이 된다. 물에 넣고 엷게 우려내 차로 마시면 된다. 숙지황 양으로 차의 농도를 조절할 수 있으나, 소화 장애 유발을 막기 위해 묽게 마실 것을 권한다. 기호에 따라 꿀이나 설탕을 추가해 마셔도 좋다.


김동휘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인삼특작이용팀장은 “체력을 보강하기 위한 보조 요법으로 지황을 추천하지만 섭취량이나 섭취 방법 조절이 필요한 경우 전문가와 상의하길 권한다”고 당부했다.


지황죽 만드는 법

  • 재료: 생지황 적당량, 멥쌀 1컵, 물 10컵
  • 1일 권장량: 1그릇
  • 레시피
  1. 생지황을 찧어 즙을 짜낸다.
  2. 지황즙에 쌀을 담가 푹 불려 햇빛에 말리는 과정을 3번 반복하여 지황쌀을 만든다.
  3. 지황쌀과 물을 넣고 죽을 쑨다.


숙지황차 만드는 법

  • 재료: 숙지황 30g~60g, 물 2L
  • 1일 권장량: 500ml
  • 레시피
  1. 물에 숙지황을 넣고 센 불에서 끓을 때까지 가열한다.
  2. 약한 불에서 1시간 더 끓인 후 차로 마신다.
출처 : 암 전문 언론 캔서앤서 기사
이 글이 도움이 되었다면 추천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