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 상식 노트 ∙ 갑상선암

갑상선암 수술 받으면 목소리가 바뀔까?

avatar
힐오 케어팀
조회 23
추천 0
AI 요약
갑상선암 수술 후 일시적 목소리 변화는 흔한 부작용. 주변 후두신경이 손상되면 쉰 목소리나 사레가 발생할 수 있으나, 대부분 3~6개월 내 회복. 그러나 무려 1000명 중 1명은 영구적 변화 가능성! 경부 운동이 수술 후 목 불편감과 음성장애 해소에 효과적인 것으로 연구 발표

갑상선암 수술을 받으면 목소리가 변할까?


그렇다. 하지만 평생 목소리가 변하는 건 아니다. 갑상선암 수술 후 일시적으로 목소리가 변하고 쉰소리가 날 수 있다. 목에는 목소리를 조절하는 신경이 지나간다. 성대의 움직임을 조절하는 후두 신경과 고음을 조절하는 상부 후두 신경이 있는데, 모두 갑상선과 근접한 위치에 있다. 갑상선암 수술을 할 때 이 두 신경을 불가피하게 건드려야 하는 경우가 있다. 수술 중 후두 신경이 손상되면 쉰 목소리가 나온다. 일부 환자의 경우 잦은 사레 들림을 호소한다. 흔하지는 않지만 상부 후두 신경 일부가 손상되면 고음이나 큰 소리를 내지 못한다. 하지만 이러한 목소리 변화는 일시적이며, 대부분 수술 후 3~6개월 이내에 목소리가 돌아온다. 간혹 수술 후 영구적으로 쉰 목소리가 나오는 경우도 있는데, 연구에 따르면 1000명 중 1명이 갑상선암 수술 후 변한 목소리가 돌아오지 않는다. 이때는 음성 치료, 재활 치료로 나아질 수 있다.


갑상선암 수술 후 목이 불편하다면 경부 운동을 해주면 효과적이다. 2014년에 발표된 '갑상선절제술 후 경부 불편감의 경감을 위한 조기 경부 운동의 효과 분석' 이라는 논문에 따르면 갑상선암 수술 후 경부 운동을 하면 음성 장애와 목 불편감 등을 해소하는 데 도움이 된다.



경부 운동 방법(아래 그림 참조)

  1. 목과 어깨를 충분히 이완 시킨다.
  2. 머리를 아래로 숙인다.
  3. 어깨를 고정하고 머리를 오른쪽으로 돌린다.
  4. 어깨를 고정하고 머리를 왼쪽으로 돌린다.
  5. 머리를 오른쪽으로 기울인다.
  6. 머리를 왼쪽으로 기울인다.
  7. 어깨를 돌린다.
  8. 만세를 부르듯 손을 위로 천천히 올린다.


출처 : 암 전문 언론 캔서앤서 기사
이 글이 도움이 되었다면 추천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