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 상식 노트 ∙ 유방암

유방암 치료 후 심혈관질환 위험 높아지는 이유

avatar
힐오 케어팀
조회 40
추천 0
AI 요약
유방암 치료 후 심혈관질환 발병률이 급증한다는 충격적인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한림대 연구팀이 1256명의 유방암 환자를 분석한 결과, 고위험군은 치료 7년 후 심혈관질환 발생률이 17%에 달했다. 방사선 치료가 왼쪽 가슴부위를 포함하고, 항암제가 심장 근육을 손상시켜 심부전을 유발할 수 있어 치료 후에도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유방암 치료 후 심혈관 질환 발생 가능성이 높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한림대동탄성심병원 한성우, 김도영 교수와 가톨릭의대 윤종찬 교수, 건국대 의학전문대학원 김성해 교수 등 공동연구팀은 유방암 치료 후 심혈관질환 발병 가능성을 미리 알 수 있는 예측모델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2005년 11월부터 2015년 9월까지 한림대의료원 산하 한림대성심병원, 한림대강남성심병원, 한림대춘천성심병원, 한림대동탄성심병원에서 유방암으로 치료받은 1256명을 분석했다.

기존에 알려진 심혈관질환 위험인자인 고혈압, 고령, 비만, 신장기능 저하, 이전에 진단받았던 심혈관질환의 병력과 더불어 유방암 치료와 관련된 심혈관질환 위험인자인 안트라사이클린 항암제 용량, 왼쪽 유방에 대한 방사선요법 등을 반영한 것이다.

개발된 예측모델에 따르면 고위험군의 경우 유방암 치료 7년 후 심혈관질환 발생률이 17%로 나타났다. 반면 저위험군의 경우 같은 기간 심혈관질환 발생률이 0%에 가깝게 나타났다.

유방암 환자는 수술과 함께 방사선요법과 항암치료를 받는다. 이 과정에서 방사선요법을 받을 경우 심장이 있는 왼쪽 가슴 부위가 치료 범위에 포함되다보니 심혈관질환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이다. 

또 유방암 환자에게 사용하는 항암제인 안트라사이클린과 트라스주맙은 심장 근육을 손상시키고 심부전을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유방암 환자들은 암 치료 후에도 심혈관질환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며 의료진들은 추가 치료를 결정할 때 심혈관질환의 위험성을 살펴야 한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유방암 치료 후 심혈관질환 결과를 예측하기 위한 위험점수 모델의 개발 및 검증이라는 제목으로 국제저널인 ‘미국심장협회지(Journal of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IF: 6.106)’ 에 게재됐다.

출처 : 암 전문 언론 캔서앤서 기사
이 글이 도움이 되었다면 추천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