햇빛 비타민으로 불리는 '비타민D'가 부족한 남성은 전립선암에 걸릴 위험이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서울시 보라매병원 비뇨의학과 정현 교수 연구팀은 남성의 혈중 비타민 D 수치와 전립선암 위험 연관성을 규명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팀은 2015년 12월부터 2019년 12월까지 보라매병원을 찾아 전립선 생검을 받은 224명을 대상으로 혈중 비타민D 수치와 전립선암 진행 사이 연관성을 분석했다.
이와 함께 연구팀은 전립선암 치료를 위해 근치적 전립선 절제술을 받은 환자 36명의 종양 크기와 혈중 비타민D 수치를 비교 분석했다. 대상자는 전립선암 진단 여부와 암의 조직학적 중증도에 따라 ▲전립선암 진단을 받지 않은 그룹 ▲임상적으로 유의한(치료가 필요한) 전립선암 그룹 ▲임상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전립선암 그룹으로 분류됐다. 연구진은 전립선암 악성도를 나타내는 ‘글리슨 점수(GS)’가 7점 이상일 때 임상적으로 유의한 전립선암으로 정의했다.
그 결과 혈중 비타민D 수치에 따라 전립선암의 조직학적 중증도와 크기가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립선암이 없는 그룹과 임상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전립선암 그룹은 평균 혈중 비타민D 수치가 각각 19.6ng/mL, 19.1ng/mL 수준이었던 반면 임상적으로 유의한 전립선암 그룹은 이보다 낮은 18.1ng/mL로 확인됐다.
또 전립선암 종양 크기가 평균 이상에 해당된 그룹은 혈중 비타민D 수치가 11.2ng/mL로 평균 이하인 그룹(19.2ng/mL)보다 낮았다. 연구진은 이번 연구에서 혈중 비타민D 수치가 전립선암 중증도 뿐 아니라 크기와도 연관이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