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 상식 노트 ∙ 전립선암

최영득 연세암병원 교수, 비뇨기암 로봇수술 5000건 돌파

avatar
힐오 케어팀
조회 70
추천 0
AI 요약
연세암병원 최영득 교수가 아시아 최초, 세계 다섯번째로 비뇨기암 로봇수술 5천회를 돌파했다. 2005년부터 시작해 현재 5049건 달성, 85%가 전립선암 수술이었다. 기존 1~2시간 걸리던 수술을 20분으로 단축하고, 요도-신경-혈관 보존 로봇 적출술 등 20여 종류의 환자 맞춤형 수술법을 개발해 부작용 최소화에 성공했다.

연세암병원 최영득 비뇨기과 교수(사진)가 아시아 최초 세계 다섯번째로 비뇨기암 로봇수술 5000회를 돌파했다.

연세암병원 비뇨기과 최영득 교수./연세암병원 제공

연세암병원에 따르면 최교수는 지난 1월 62세 노모 씨에게 000번째로 비뇨기암 로봇수술을 시행했다. 노씨는 특별한 부작용 없이 수술 이틀 뒤 퇴원했다.최 교수가 로봇 수술을 처음 한 것은 2005년이며 지난 2월말까지 5049건의 로봇 수술을 진행했다. 5000건 중 전립선암 수술이 85%로 가장 많았다. 로봇수술을 받은 전립선암 환자의 70% 정도가 고위험군이었으며 그 중 80%가 3기 이상이었다.전립선은 골반 뼈 안쪽에 있어 암 조직이 뼈에 가려져 수술이 힘들다. 수술 후 요실금이나 성기능장애 등 부작용이 생기기도 쉽다. 로봇수술은 골반 뼈 안쪽까지 카메라가 들어가기 때문에 암 발생 부위를 10배 확대해 볼 수 있다. 주변 신경과 혈관을 살려 성기능을 유지하고 배뇨 관련 조직을 최대한 보존해 요실금을 예방하는 효과가 좋다. 수술 중 출혈량도 적다.최 교수는 환자별로 다양한 암 형태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감안해 환자 상태에 따라 맟춤형 수술법을 개발하고 있다.


대부분의 전립선암 로봇 수술은 복강으로 로봇팔을 넣어 수술하는 반면, 최 교수는 복강내 장기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해 복막 외 접근을 시도한다. 배꼽 아래 부분과 방광 위 사이의 공간에 로봇팔을 넣어 전립선암을 수술하는 방법이다. 최교수는 20여 종류의 환자 맟춤형 로봇 전립선 적출술로 생존기간도 늘리고 있다. 암이 뼈로 전이돼 수술이 힘든 진행성 전립선암도 로봇수술을 하고 있다. 최근에는 암 조직을 제거하면서 요도 조직과 성 신경은 최대한 남기는 ‘요도-신경-혈관 보존 로봇 적출술’을 개발했다.최 교수는 1~2시간 정도 걸리는 로봇 수술을 20여분으로 단축했다. 환자에 맞춤형 수술 방식을 적용하고 복막 외 접근 짧은 수술시간으로 수술 부작용도 최소화하고 있다. 그는 "전립선암 수술은 로봇수술 장점을 극대화 할 수 있다"며 "다양한 수술기법과 경험 노하우를 바탕으로 환자에게 최적의 수술을 제공하고자 노력하고 있다"고 했다.

출처 : 암 전문 언론 캔서앤서 기사
이 글이 도움이 되었다면 추천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