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 상식 노트 ∙ 췌장암

침묵의암 췌장암, 13년간 2배 이상으로 증가...고령층 급격한 증가세

avatar
힐오 케어팀
조회 28
추천 0
AI 요약
2006년부터 2019년까지 우리나라 췌장암 환자가 3794명에서 8153명으로 2배 이상 증가했습니다. 특히 80세 이상 고령층에서 4.19배로 가장 높은 증가세를 보였습니다. 치료법은 보존치료(51%), 항암화학요법(27%), 수술(21%) 순이며, 최근 수술과 항암치료가 증가해 전 연령대 생존율이 향상되었습니다.

우리나라 췌장암 환자가 약 10년간 2배 넘는 수준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고, 고령층의 증가가 뚜렷했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소화기내과 박병규 교수 연구팀은 '한국 췌장암의 치료 경향 및 결과에 대한 국가적 자료 분석'이라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췌장암은 증상이 없다가 상당히 진행된 다음에서야 발견되는 경우가 많아 '침묵의 암'이라는 별칭이 붙어있다. 이번 조사 대상은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췌장암 진단데이터(2006~2019년) 7만 9000여명이었다. 이들의 췌장암의 발생 현황과 치료 경향, 요인별 생존율을 분석했다. 연구 결과 췌장암 환자는 2006년 3794명에서 2019년 8153명으로 4359명 증가했다. 연령 별 환자수 증가비는 80세 이상이 4.19배로 가장 높았고, 이어 70대(2.18), 60대 (1.77), 59세 이하(1.68) 순이었다.


치료유형별로는 보존치료가 약 51%로 가장 많았으며, 항암 화학 요법이 27%, 수술 21%, 동시 항암 방사선 요법이 1.3%였다. 최근 들어 수술과 항암 화학 요법은 증가(각각 9.4%와 11%)한 반면, 보존요법은 감소했다(42%). 수술 요법과 항암 화학 요법은 70대에서 크게 증가했다. 항암 화학 요법에서 가장 많이 사용된 약물은 2006~2011년에는 젬시타빈 단독요법, 2011~2015년에는 젬시타빈-엘로티닙 병용요법, 2017년부터는 젬시타빈-냅 파클리탁셀 병용요법과 폴피리녹스((5-FU+류코보린+이리노테칸+옥살리플라틴)이다. 연령별 생존율은 80세 이상(2.4→3.4개월), 70대(4.2→8.3개월), 60대(6.8→7.8개월), 59세 미만(8.8→18.8개월) 모두 향상됐으며, 특히 젊고 수술과 항암 화학 요법을 받은 환자에서 높아졌다. 연구팀은 생존율 향상 원인으로 수술 후 사망률 감소, 외과수술법과 수술 후 보조요법 개선, 그리고 새로운 약물요법 도입 덕분이라고 설명했다.

출처 : 암 전문 언론 캔서앤서 기사
이 글이 도움이 되었다면 추천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