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 용어사전

연하곤란

avatar
힐오 케어팀
조회 49
추천 6
2025.05.30
AI 요약
연하곤란은 음식물이 위장으로 제대로 넘어가지 않는 상태로, 뇌졸중, 파킨슨병, 치매부터 각종 암까지 심각한 질환의 신호일 수 있습니다. 사레, 숨 막힘, 목소리 변화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약물치료나 경우에 따라 수술이 필요합니다. 평소 삼키는 감각에 이상을 느낀다면 주의가 필요합니다.

연하곤란은 음식물이 구강에서 인두, 식도를 거쳐 위장관으로 보내지는 과정의 문제와 관련 있다.



음식을 삼키거나 물을 마시면 아무런 감각이나 저항 없이 입에서부터 위장까지 쉽게 통과하는 것이 보통인데, 이때 음식이 지나가는 감각이 느껴지거나 음식이 식도 내에서 걸려서 내려가지 않으면 연하곤란이라 한다. 연하곤란의 원인은 신경학적 원인과 근육 손상으로 인한 원인이 있다. 신경학적 원인은 뇌졸중, 외상성 뇌손상, 파킨슨병, 치매, 뇌신경 마비, 중증 근무력증 등이 있다. 근육 손상으로 인한 원인은 염증성 근육병증, 근디스트로피 등이 있다. 그 외에 구강, 인두, 식도 등의 종양도 원인이다. 구강암이나 인두암, 식도암, 후두암, 갑상선암 환자 중 연하곤란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은 것도 이 때문이다. 연하곤란이 있으면 사레, 숨 막힘, 식사 후 목소리 변화, 목에 음식물이 붙어있는 느낌 등의 증상을 보이거나, 연하통이 동반된다. 연하통은 음식물이 식도의 염증이나 궤양이 생긴 부위를 지나갈 때 쓰리거나 뻐근함이 느껴지는 것이다. 연하곤란은 근이완제, 제산제 등의 약물을 이용해 치료 가능하며, 식도 부위의 위장관에 협착이 발생한 경우 위장관 확장 수술을 시행하기도 한다.

출처 : 암 전문 언론 캔서앤서 기사
이 글이 도움이 되었다면 추천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