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 연구소 ∙ 대장암

대장암 위험 '남성=체질량, 여성=허리둘레'에 달려있다?

avatar
힐오 케어팀
조회 22
추천 0
AI 요약
5만8천명 대장암 환자 연구결과, 남성은 체질량 지수가 높을 때, 여성은 허리-엉덩이 둘레 비율이 높을 때 대장암 위험이 급증! 남성은 BMI 4.2kg/㎡당 위험 23% 증가, 여성은 허리-엉덩이 비율 0.07 증가시 위험 25% 상승. 암 예방을 위한 성별 맞춤 접근 필요성 확인!

비만이 대장암과 관련이 있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지만 남성과 여성의 대장암 발병에 각각 다른 방식으로 위험요인이 된다는 연구결과가 유럽에서 나왔다. 




영국 브리스톨대학 연구팀이 진행한 대규모의 코호트 연구는 대장암 환자 5만 8000명 이상과 건강한 성인 약 6만 8000명을 대상으로 성별에 따른 비만 정도와 대장암 발병 위험의 관계를 고찰했다. 연구팀은 대상자들의 체질량 지수(BMI)와 허리-엉덩이 둘레 비율(WHR)을 조사했다. 체질량 지수는 체중을 신장의 제곱으로 나눈 수치로 연구팀은 25 이상이면 과체중 30 이상이면 비만으로 간주했다. 허리-엉덩이 둘레 비율은 허리 둘레를 엉덩이 둘레로 나눈 수치로 여성은 0.85 남성은 0.9 이상이면 복부비만이다.

연구팀은 "연구 결과 남성은 체질량 지수가 높을 때 여성은 허리-엉덩이 둘레 비율이 높을 때 대장암 발병 위험이 높았다"고 발표했다.

남성은 체질량 지수 4.2 kg/㎡당 대장암 위험이 23% 높아졌지만 여성은 체질량 지수 5.2 kg/㎡당 9% 높아지는 것에 불과했다. 허리-엉덩이 둘레 비율이 0.07 증가할 때 여성은 대장암 위험이 25% 늘어났지만 남성은 5% 증가했다. 연구팀은 남성은 체질량 지수가 여성은 허리-엉덩이 둘레 비율이 대장암 발병과 연관성이 강한 이유에 관해선 밝히지 않았다.

연구팀은 이 연구 결과를 놓고 "암 예방을 위해 노력할 때 남성과 여성의 접근 방식에 차이가 있어야 한다"며 "앞으로 체지방 증가가 대장암 위험을 높이는 기전과 암 위험을 낮추기 위한 방법에 관해 추가 연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영국 암 연구소는 대장암 위험을 줄이려면, 적정 체중을 유지하면서 식이섬유는 많이 섭취하고, 붉은 육류와 가공육은 적게 섭취하는 식습관을 실천해야 하고, 술은 적게 마시고 금연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권장했다.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 ‘BMC 의학(BMC Medicine)’ 최근호에 게재됐다.

출처 : 암 전문 언론 캔서앤서 기사
이 글이 도움이 되었다면 추천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