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 연구소 ∙ 유방암

20대 자궁경부암 매년 3.6% 증가, 연령대별 가장 높아

avatar
힐오 케어팀
조회 24
추천 0
AI 요약
육식, 스트레스, 운동 부족으로 인해 남녀 생식기 질환이 급증하고 있습니다. 전립선암은 5년간 56.2% 증가했고, 유방암은 연 5% 지속 증가 중입니다. 특히 자궁경부암은 20대 증가율이 3.6%로 가장 높아 임신과 출산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젊은 여성의 예방접종과 정기검진이 필수입니다.

육식을 많이 하는 식습관, 스트레스, 운동 부족 등으로 인해 남성 전립선 질환, 여성 질환인 유방암과 자궁경부암 환자가 늘고 있다.



전립선암의 경우 최근 5년간 전체 환자수가 56.2%, 발생자수가 33.4% 증가했다. 유방암은 연 5% 내외로 발병률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고, 자궁경부암은 30대 이하 여성을 중심으로 환자수가 크게 늘어났다. 생명보험협회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보건의료빅데이터개방시스템, 국가암관리위원회 통계 등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전립선 질환 환자의 95%가 50대 이상 남성이다. 그런데 자료에 따르면 전립선 비대증으로 병원을 찾은 30대 환자가 2014년 1만 2006명에서, 2018년 1만 5997명으로 33% 증가했다. 식습관·스트레스 등 생활패턴 변화, 증상이 있을 때 조기에 병원을 방문하는 경향이 늘어난 것이 젊은 환자가 증가한 주요인으로 분석된다.


남성에게 많이 생기는 암은 위암, 폐암, 대장암, 전립선암, 간암 순인데, 전립선암의 비중은 2013년 8.4%에서 2017년 10.5%로 증가했다. 전체 환자수는 2015년 6만 1973명에서, 2019년 9만 6814명으로 56.2% 증가했고, 연간 발생자수는 2013년 9594명에서, 2017년 1만 2797명으로 33.4% 증가했다. 전립선암은 5년 상대생존율이 94.1%로 높지만, 암 치료 후 다양한 후유증이 나타날 수 있어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여성에게 많이 생기는 암은 유방암, 갑상선암, 위암, 폐암, 간암 순이다. 대부분의 암이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지만, 유방암은 2002년 이후 발병률이 연간 5% 내외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2016년 기준 유방암 진단의 중앙 나이는 51.5세이며, 40대가 8843명으로 가장 많이 발생한 연령군이다. 유방암은 생존율(5년생존율 91.2%, 10년생존율 84.8%)이 높지만, 사망자는 1990년 10만명당 2.8명에서, 2018년 9.6명으로 증가했다. 자궁경부암은 여성암 발병원인 7위를 기록하고 있으며, 발병 환자수 및 진료비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다. 연령별 자궁경부암 환자수를 보면, 40~50대가 전체의 51.7%를 차지하고 있으나, 연평균 환자수 증가율은 20대 이하가 3.6%로 가장 높다. 젊은 여성은 적정 치료시기를 놓칠 경우 향후 임신이나 출산에 문제가 생길 수 있는 만큼 예방접종, 정기검진을 통한 대비가 필요하다.


협회는 "생명보험업계에서 특약 또는 주계약 상품을 통해 합리적인 수준의 보험료로 남성·여성질환의 진단비·수술비 등을 보장하고 있다"며 관련상품의 특징을 설명했다. 전립선암·유방암·자궁경부암 등 남성·여성 특정암 진단 시 보험금을 지급하며, 유방암의 경우 유방절제술 또는 유방재건술 수술 시, 남성특정질환의 경우 생식기·비뇨기계 질환으로 수술 시 보험금을 지급한다.

출처 : 암 전문 언론 캔서앤서 기사
이 글이 도움이 되었다면 추천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