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 연구소 ∙ 폐암

폐암ㆍ식도암 방사선 치료 중 호흡재활, 삶의 질 향상

avatar
힐오 케어팀
조회 26
추천 0
AI 요약
서울아산병원 연구팀이 방사선 치료 중인 폐암•식도암 환자들에게 호흡재활 치료를 실시한 결과, 호흡 능력이 6.5% 향상되고 6분 걷기 거리도 크게 증가했습니다. 반면 재활치료를 받지 않은 환자들은 폐활량이 오히려 감소했습니다. 병원은 환자들을 위한 '가정 호흡재활' 프로그램도 운영 중입니다.

폐암, 식도암 환자들이 방사선 치료 중 호흡재활 치료를 계속 받으면 호흡이 더 쉬워져 삶의 질이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폐암과 식도암 환자들은 호흡이 불편한 증상이 있는데 치료 중에 증상이 더 심해진다. 따라서 치료 전후로 호흡재활 치료를 실시한다. 15일 서울아산병원에 따르면 서울아산병원 호흡기내과 이세원 교수팀은 2018년 1월부터 2019년 6월까지 흉부 방사선 치료 과정 중 호흡재활을 받은 폐암 식도암 환자 11명과 호흡재활을 받지 않은 환자 33명의 폐활량 변화를 비교했다. 그 결과 호흡재활을 받은 환자들의 호흡 능력은 6.5% 높아진 반면 호흡재활을 받지 않은 환자들은 변화가 거의 없었다.

연구팀은 방사선 치료 전후로 환자들에게 호스를 입에 물고 숨을 크게 들이마셨다가 끝까지 내쉬어 폐활량을 측정하는 폐기능검사를 통해 폐활량과 기관지 폐쇄성 정도를 확인했다. 기관지 폐쇄성은 FEV1(처음 1초동안 최대 날숨량)을 FVC(최대한 숨을 내쉴 때 총 공기량)로 나누어 측정한다. 값이 낮을수록 최대 날숨량이 적어 기관지 폐쇄 정도가 심하다는 뜻이다. 방사선 치료 중에도 호흡재활을 받은 폐암 식도암 환자들은 FEV1(처음 1초동안 최대 날숨량)과 FVC(최대한 숨을 내쉴 때 총 공기량)가 모두 증가해 전체적인 폐활량이 늘어났다. 기관지 폐쇄성 정도도 48%에서 54.5%로 6.5% 올라 호흡 능력이 크게 좋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호흡재활을 받지 않은 환자들은 FEV1은 변화가 없었으며 FVC는 오히려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 전체 폐활량은 줄어들었다. 기관지 폐쇄성 정도도 52%에서 53.8%로 큰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자들이 6분동안 걸을 수 있는 거리를 측정하는 ‘6분걷기 검사’에서도 호흡 재활을 받은 환자들의 경우 약 420미터에서 478미터로 크게 증가했다. 이 연구 결과는 대한 결핵및호흡기학회 학술지(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에 최근 게재됐다.

이세원 교수팀은 1주일에 두세 번 호흡재활 치료를 받기 위해 병원에 오기 힘든 환자들을 위해 ‘가정 호흡재활’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호흡재활 교재를 제작해 활용하고 환자들이 스스로 운동 강도와 빈도를 기록하는 일지를 작성한 후 진료 때 의료진과 확인할 수 있도록 했다. 호흡재활은 만성폐쇄성폐질환이나 간질성 폐질환, 폐 섬유화, 폐암 등으로 호흡이 어려워진 환자들이 더 편하게 숨 쉴 수 있게 돕는다. 호흡재활 치료는 금연‧흡입기 사용 방법‧복식호흡법‧가래 배출법‧영양 섭취 등과 관련된 교육과 걷기 자전거타기 같은 운동 프로그램으로 구성돼 있다. 그런데 방사선 치료 중인 환자들은 체력 저하 탓에 호흡재활을 꾸준히 받기 쉽지 않고 병원에서도 방사선 치료를 받는 환자들에게 호흡재활 치료를 하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이세원 교수는 “폐 질환뿐만 아니라 여러 이유로 호흡이 불편해진 환자들에게 꾸준한 호흡재활 치료가 큰 도움이 된다는 점이 다시 확인됐다”며 “편안한 호흡은 환자들의 삶의 질을 결정짓고 나아가 치료 결과에도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기존에 실시해오던 ‘가정호흡재활’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운영해 환자들이 집에서도 꾸준히 스스로 호흡재활 프로그램을 따라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출처 : 암 전문 언론 캔서앤서 기사
이 글이 도움이 되었다면 추천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