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 연구소 ∙ 폐암

국립암센터 폐암환자 77% 5년내 사망(빅데이터 연구)

avatar
힐오 케어팀
조회 24
추천 0
AI 요약
국립암센터 빅데이터 연구 결과, 폐암 환자 77%가 5년 내 사망했으며, 5년 이상 생존했다가 사망한 환자 중 22%는 암이 아닌 심뇌혈관질환 등 다른 원인으로 사망했습니다. 이는 여러 기관의 가명정보를 결합한 첫 시범연구로, 폐암 생존자의 심뇌혈관질환 관리 중요성을 시사합니다.

국립암센터에 내원한 폐암 환자 중 77%는 5년 안에 사망했고, 폐암 진단을 받고 5년 이상 생존했다가 사망한 환자 가운데 22%는 심뇌혈관질환 등 암이 아닌 다른 원인으로 사망한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와 보건복지부, 국립암센터 등은 통계청 사망정보를 포함한 여러 기관의 빅데이터 가명정보를 결합해 활용한 첫 시범연구 사례인 '국립암센터 폐암환자 치료 및 사망동향'에 대한 연구를 통해 이 같은 분석 결과를 얻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에서는 폐암 치료효과 분석과 폐암환자 합병증·만성질환 발생·사망예측모델 개발을 목표로 가명처리된 국립암센터 폐암 환자 임상정보(2002∼2019년 2만명), 국민건강보험공단 암환자 진료정보(2011∼2019년 2만명), 통계청의 사망정보(2004∼2019년 423만명)를 결합해 분석한 것이다. 또 폐암 진단을 받고 5년 이상 생존했으나 연구대상 기간 안에 사망한 환자 중 77.8%는 암으로 사망했고 나머지 22.2%는 암이 아닌 다른 원인으로 사망했다. 암 이외 다른 사망 원인 가운데는 심뇌혈관질환이 24.8%를 차지했다.


국립암센터는 "심뇌혈관질환에 의한 사망 비율은 5년 이상 생존한 폐암 환자에서 암으로 인한 사망 다음으로 높았으며, 이는 폐암 생존자의 적극적인 심뇌혈관질환 관리가 중요함을 시사한다"며 "앞으로 심층분석을 통해 폐암 환자의 심뇌혈관질환 등 만성질환 발생 및 사망과의 인과관계를 확인하고, 폐암환자 생애주기 전반에 걸친 위험요인을 파악해 예후 예측 모델을 제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번 결합사례는 가명정보 결합 시범사례 7개 과제 가운데 가장 처음 나온 것으로, 여러 기관이 보유한 건강관련 빅데이터를 가명처리해 결합한 최초 사례다. 지난해 개인정보보호법 등 데이터3법 개정으로 처음 도입된 가명정보는 개인정보와 달리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도 제3자에게 제공해 통계작성이나 산업적 목적을 포함하는 과학적 연구, 공익적 기록보존 등에 폭넓게 활용할 수 있다. 윤종인 개인정보보호위원장은 "이번 사례는 데이터의 새로운 활용가치를 창출하는 첫 시도"라며 "암 환자에게 암뿐만 아니라 관련 합병증과 만성질환까지 종합적으로 대비할 수 있는 예측 모델을 통해 장기 생존율을 높이고 국민건강 증진에도 다양하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출처 : 암 전문 언론 캔서앤서 기사
이 글이 도움이 되었다면 추천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