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 연구소 ∙ 대장암

미국 폐암ㆍ흑색종 등 암 사망률, 급속히 낮아졌다

avatar
힐오 케어팀
조회 36
추천 0
2025.05.30
AI 요약
미국 정부 암 보고서에 따르면 2001~2018년 폐암과 흑색종 사망률이 현저히 감소했습니다. 남성은 11가지, 여성은 14가지 주요 암 사망률이 낮아졌으나, 일부 암종은 오히려 증가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여성과 청소년층의 암 발생률이 높아지는 추세이며, 전문가들은 흡연 감소와 치료법 발전이 성과를 가져왔지만 비만 문제 해결을 위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강조합니다.

남녀, 인종 불문하고 암 사망률이 지속적으로 낮아지고 있다고 미국 정부의 암 연례보고서가 밝혔다.



2001년부터 2018년까지 통계를 바탕으로 작성된 이 보고서는 특히 폐암 사망률 감소가 급격히 진행되었고, 흑색종 사망이 현저히 줄어들었다고 밝혔다. 그러나, 고환암, 대장암, 유방암 등 주요 암의 경우 사망률 감소 경향이 조금씩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미국 암연구소 저널 'JNCI'에 소개된 연례보고서는 여성과 어린이, 청소년, 젊은 성인 층에서 모든 종류의 암 발생률이 높아지고 있다는 것도 찾아냈다. 보고서에는 남성의 19가지 대표적 암 중 11가지의 사망률이 낮아졌고, 여성의 20가지 대표적 암 중 14가지의 발생률이 2014~2018년 사이에 많이 낮아지고 있다고 적혀있다. 반면 몇몇 암은 사망률이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녀 모두 뇌와 신경 조직, 신장에 생긴 암의 경우가 이에 해당되고, 남성의 구강, 인후암, 여성의 간암과 자궁암 사망률이 높아졌다.


장기간 트렌드를 분석해 보면 2001년부터 2018년까지 남녀 모두 암 사망률이 줄어들었는데, 남성의 경우 2001~2015년엔 사망률이 1.8% 줄어들었고, 2015~2018년엔 2.3%가 줄어 점점 더 상황이 좋아지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여성도 각각 1.4%, 2.1%로 같은 경향을 보였다. 미국 암협회 캐런 넛슨 박사는 "폐암과 흑색종 사망률이 급격히 감소한 이유는 흡연 감소, 표적 치료제 개발, 면역력 강화 등 암 관련 환경의 개선을 들 수 있다"면서 "이 같은 진전은 환영할만한 일이지만, 우리는 암 환자를 돕고, 환자와 그 가족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 더 많은 연구를 지속적으로 해야 한다"고 말했다. 대장암, 유방암 등 몇몇 암에서 발생률과 사망률이 높아지는 것은 대체로 비만 때문인 것으로 드러났는데, 이에 대해 미국 암 연구소의 노먼 샤프리스 박사는 "수십년간의 과학적 노력을 기반으로, 비만에 대해 좀 더 깊은 연구를 진행하면 전반적으로 더 좋은 성과를 이룰 수 있을 것이라고 믿는다"고 말했다.

출처 : 암 전문 언론 캔서앤서 기사
이 글이 도움이 되었다면 추천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