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 연구소 ∙ 간암/담관암

담도암, '플루오로우라실+리포좀이리노테칸' 병용요법 효과 확인

avatar
힐오 케어팀
조회 26
추천 0
AI 요약
국내 연구진이 담도암 치료에 '플루오로우라실+리포좀이리노테칸' 병용요법을 적용한 결과, 기존 단독치료(1.4개월)보다 무진행 생존기간이 7.1개월로 크게 늘어났습니다. 서울아산병원 유창훈 교수팀의 이 연구는 란셋 온콜로지에 게재되었으며, 치료가 어려운 담도암 환자들에게 새로운 희망을 주는 국제 표준치료법으로 인정받을 전망입니다.

서울아산병원 유창훈 교수팀 연구... 국제 표준치료로 인정받을 듯

담도암은 국내에서 9번째로 많이 발생하는 암인데 대부분 수술이 어려운 상태로 발견되고 항암제로 치료해도 1년 생존율이 약 40%일 정도로 치료가 매우 어렵다. 그런데 국내 연구진이 항암제 병용요법(몇 가지 항암제를 함께 사용해 치료)으로 담도암 치료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이 연구 성과는 국제적으로 인정받아 담도암 2차 항암치료의 국제 가이드라인으로 자리잡을 것으로 예상된다.


서울아산병원 종양내과 유창훈 교수팀은 1차 항암치료에도 불구하고 암이 진행된 담도암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2차 치료에 ‘플루오로우라실+리포좀이리노테칸(Liposomal irinotecan)’ 병용요법을 시행했다. 그 결과 기존의 방법대로 플로오로우라실 단독치료 시의 무진행 생존기간(종양 크기가 더 커지지 않은 상태로 생존한 기간)이 1.4개월인데 비해 병용요법의 무진행 생존기간은 7.1개월로 6개월 정도 늘어났다.

국내 다기관(서울아산병원 해운대백병원 울산대병원 충남대병원 경북대병원)이 참여해 전향적으로 진행된 이번 연구는 지난 6월 미국임상종양학회(ASCO)에서 발표됐으며 종양학 연구 분야에서 세계적으로 권위 있는 ‘란셋 온콜로지(Lancet Oncology IF= 41.316)’에 최근 게재됐다.

유창훈 교수팀의 연구 결과에 대해 일라이자 빌 미국 오하이오주립대학교 종합 암센터 외과 교수는 ‘란셋 온콜로지’ 저널에 “담도암 2차 항암제 치료에 있어서 기존 치료제인 플루오로우라실과 함께 리포좀이리노테칸을 사용하는 것이 반드시 임상 가이드라인으로 고려되어야 한다는 사실을 밝혔다”는 내용의 평론을 게재했다.

소화를 돕기 위해 간에서 만들어진 쓸개즙(담즙)이 이동하는 통로인 담관과 쓸개즙이 잠시 머무는 공간인 담낭을 통틀어 담도라고 한다. 담도암은 초기 증상이 거의 없다 보니 담도암으로 진단된 환자의 약 3분의 2가 수술이 어려운 상태에서 발견돼 항암제 치료에 들어간다.

1차 항암치료는 보통 ‘젬시타빈+시스플라틴’ 병용요법이 쓰이는데 치료가 듣지 않아 암이 계속 진행되는 경우 어떤 치료를 해야 할지 국제적으로 확립된 표준 치료가 없었다. 지금까지는 다른 소화기 암에서 사용되는 플루오로우라실로 2차 항암치료를 했는데 결과는 좋지 않았다.

서울아산병원 종양내과 유창훈 교수팀은 췌장암과 담도암의 종양학적 특성이 비슷한 점을 바탕으로 먼저 담도암 세포를 이용한 실험에서 췌장암 치료에 사용되어 온 리포좀이리노테칸 항암제가 담도암 치료에도 효과가 있다는 사실을 직접 확인했다.

그 후 환자들을 대상으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2018년 9월 ~ 2020년 2월 사이에 1차 항암제 치료 후 암이 진행한 담도암 환자 174명을 플루오로우라실 단독요법 그룹과 ‘플루오로우라실+리포좀이리노테칸’ 병용요법 그룹으로 나눠 치료했다.

평균 약 11.8개월 동안 2주마다 항암제 치료를 실시하며 추적 관찰한 결과 단독요법 그룹의 암 무진행 생존 기간이 약 1.4개월이었으며 병용 요법 집단은 약 7.1개월인 것으로 나타났다. 암이 부분적으로 관해된 비율은 단독그룹과 병용그룹에서 각각 약 6% 15%였으며 암이 더 이상 진행되지 않은 비율은 각각 29% 약 50%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환자들에게 유럽암연구치료기구(EORTC)가 개발한 삶의 질 측정 지표(QLQ-C30)를 활용해 설문한 결과 두 집단 간 환자들이 느끼는 삶의 질 차이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출처 : 암 전문 언론 캔서앤서 기사
이 글이 도움이 되었다면 추천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