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스피린이 대장암과 진행성 선종의 발생률을 낮출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의정부을지대병원 소화기내과 정광현 교수, 서울대병원 헬스케어연구소 강남센터, 정수진 교수, 삼성서울병원 소화기내과 박주경 교수 연구팀은 건강검진 목적으로 생애 첫 대장내시경을 시행한 수검자 6047명의 개인별 특성과 용종의 형태를 바탕으로 AN(대장암 및 진행성 선종) 및 HRA(고위험 선종)의 위험도를 분석했다.
연구팀은 해열·소염·진통 및 항혈소판제로 흔히 사용되는 아스피린을 복용한 수검자에서 AN 발견 빈도가 현저하게 낮음을 확인했다. 이 연구 결과는 임상연구 국제학술지 'Frontiers in Medicine'지에 게재됐다.
연구팀은 일반인에서 AN 위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연령, 성별, 흡연, 아스피린 복용 등이 연관돼 있음을 발견했다. AN은 남성에서 더 많이 발견되며 나이가 많을수록 흡연할수록 그 위험도가 더 높았다. 반면 아스피린을 장기간 복용한 수검자에서는 AN 위험도가 40%로 낮아져 대장암 예방인자로서 효과를 보였다.
연구팀은 수검자들의 용종 위치, 용종 크기, 성별, 용종 모양을 바탕으로 한 의사결정나무(결론에 도달할 때까지 ‘예/아니오’ 질문을 반복해 최종 의사결정을 하는 방법) 모델을 통해 용종의 조직학적 분류를 예측할 수 있었는데 용종이 대장의 하단부(에스결장)에서 발생했고 크기가 5mm를 초과한 경우 AN일 확률(16.5%)이 가장 높았다. 반면 근위부(상부) 대장에 용종이 발생한 경우엔 비진행성 선종(NA)일 확률(63.8%)이 상대적으로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