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 연구소 ∙ 폐암

두경부암ㆍ폐암 치료 중 '이것' 주의해야

avatar
힐오 케어팀
조회 30
추천 0
AI 요약
아주대병원 연구팀이 항암요법 중인 두경부암과 폐암 환자에게서 혈전색전증 발생을 확인했습니다. 두경부암 환자의 1.9%, 폐암 환자의 3.3%에서 혈전이 발생했으며, 코라나 점수가 높거나 흡연자일 경우 위험도가 높았습니다. 치명적일 수 있는 혈전색전증에 대해 치료 전 환자 설명이 필요합니다.

국내 의료진이 항암요법 중인 암 환자에게 혈전이 생긴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아주대병원 종양혈액내과 안미선·최진혁·김태환 교수팀은 두경부암과 비소세포폐암에서 항암화학요법을 받은 환자의 혈전색전증 발생에 대한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연구팀은 지난 2005년 1월부터 2019년 12월까지 15년간 시스플라틴 병용 동시항암방사선요법을 시행한 국소진행성 두경부암 환자 257명과 2005년 10월부터 2020년 6월까지 비소세포폐암으로 수술 후 보조항암화학요법을 시행 받은 275명을 대상으로 치료 과정 중 또는 종료 후 6개월~1년 이내 혈전색전증 발생 빈도와 위험인자를 분석했다.

그 결과 두경부암의 경우 5명(1.9%)의 환자에서 혈전색전증이 발생했고 혈전색전증 예측인자로 코라나 점수(Khorana score)만이 유일하게 유의미한 관련이 있었다. 코라나 점수는 여러 임상적 소견 중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BMI)와 백혈구수 등 혈구수치로 계산한다.또 비소세포폐암은 9명(3.3%)의 환자에서 혈전색전증이 발생했고 그 중 7명이 폐색전증이었고 9명의 환자 모두 병기가 2B기 이상이고 한 명을 제외한 8명이 기흡연자였다.

안미선 교수는 “이번 연구에서 다행히 두경부암과 비소세포폐암 모두 치료 중 혹은 치료 후 혈전색전증의 발생빈도가 1.9~3.3%로 비교적 낮은 양상을 보였다”고 밝히며 “두 질환에서 모두 치명적일 수 있는 혈전색전증 발생이 확인됐으며 코라나 점수가 높거나 흡연이 위험인자로 확인돼 환자 치료 전 혈전색전증에 대한 설명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대한내과학회지와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s)에 게재됐다.

출처 : 암 전문 언론 캔서앤서 기사
이 글이 도움이 되었다면 추천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