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 가이드 ∙ 대장암

한국 2040 대장암 세계1위...고기 많이 먹고 운동은 부족

avatar
힐오 케어팀
조회 42
추천 0
AI 요약
한국 20~40대 대장암 발생률이 인구 10만명당 12.9명으로 42개국 중 1위, 연평균 증가율도 4.2%로 최고. 서구화된 식습관(가공육·붉은 육류), 비만, 운동 부족이 주원인. 50세 이하라도 혈변, 빈혈, 복통 등 증상 있으면 검사 필요. 건강한 식습관과 생활방식으로 예방 가능.

우리나라 20~40대의 대장암 발생률이 세계 최고 수준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콜로라도 대학 안슈츠 메디컬의 연구팀이 최근 국제 의학 저널 ‘랜싯(Lancet)’에 게재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20~49세의 대장암 발생률은 인구 10만명당 12.9명으로 조사 대상 42국 중 1위로 나타났다. 2위 호주가 10만명당 11.2명, 3위 미국과 슬로바키아가 각각 10만명당 10.0명이었다. 우리나라는 20~40대 대장암 환자의 연평균 증가율도 4.2%로 가장 높았다. 


우리나라는 2000년대 이후 대장암 발생률이 빠르게 올라갔다. 특히 50대 이상뿐만 아니라 최근 2049 세대의 ‘젊은 대장암’이 급증한 원인으로는 짧은 기간에 서구화된 식습관, 젊은 층의 비만·만성염증 등 증가, 경각심 부족에 따른 초진 지연 등이 꼽힌다. 일본 등 다른 아시아권 국가와 비교해 우리나라 젊은 층은 가공육과 붉은 육류, 특히 바싹 익히거나 탄 음식 등을 섭취하는 비율이 더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서구의 젊은이들에 비해 운동량이 적다는 점도 위험 요소로 꼽히고 있다. 


대장항문 전문가들은 50세 이하라도 혈변, 빈혈, 복통 가늘어진 변 등 관련 증상이 나타나면 대장암 검사를 받아야 하고 가족력이 있으면 45세 이전에 대장 내시경 검사를 받아야 한다고 권하고 있다.

일부 전문가들은 우리나라가 외국보다 내시경 검진 비율이 높고 검진 체계가 잘 돼 있어 이른 나이에 대장암 진단을 받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라고 해석한다. 

중앙암등록본부의 지난해 말 발표에 따르면 2019년 국내에서 진단한 25만 4718건의 암 가운데 2만 9030건(11.4%)이 대장암이었다. 대장암의 약 80%는 고지방·고칼로리 음식, 비만, 흡연, 음주 등 나쁜 생활습관 때문에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만큼 육식을 줄이고 운동을 하는 등 건강한 식습관과 생활습관을 통해 대장암을 예방하는 것이 좋겠다. 

출처 : 암 전문 언론 캔서앤서 기사
이 글이 도움이 되었다면 추천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