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 가이드 ∙ 폐암

'이것'에 장기간 노출되면 담배 안펴도 폐암 위험↑

avatar
힐오 케어팀
조회 24
추천 0
AI 요약
서울대병원 연구팀이 583만명을 10년간 추적한 결과, 미세먼지 농도가 10ug/m3 증가할 때마다 폐암 발병률이 크게 높아졌습니다. 현재 흡연자는 비흡연자보다 1.4배, 과거 흡연자는 1.2배 높은 폐암 발병률을 보였으며, 특히 남성은 흡연 여부와 관계없이 미세먼지로 인한 폐암 위험이 모두 상승했습니다.

미세먼지에 오랜기간 노출되면 흡연 여부와 상관없이 폐암에 걸릴 확률이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서울대병원서울시보라매병원 호흡기내과 이현우 교수팀은 미세먼지 노출과 폐암 발병 사이의 연관성을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팀은 2005년부터 2007년까지 국민건강검진을 받은 20세 이상 65세 이하 인구 중, 서울 및 수도권에 거주하는 583만 1039명을 2015년까지 추적 관찰했다. 폐암 발병률을 분석한 결과, 전체 대상자 중 0.6%에 해당하는 3만 6225명이 관찰 기간 이내에 폐암을 진단 받았다. 여성의 경우 폐암 발병자 대다수(94.4%)가 비흡연자인 것으로 확인됐다. 또 폐암 발병률은 남녀 모두 현재 흡연자, 과거 흡연자, 비흡연자 순으로 높았다.


미세먼지 농도가 10ug/m3 증가할 때, 현재 흡연자는 비흡연자에 비해 1.4배의 폐암 발병률을 보였다. 과거 흡연자는 비흡연자의 1.2배로 폐암 발병률이 증가했다. 특히 흡연 여부 등 혼란변수를 조정한 다변량 분석 결과에서는 미세먼지 농도와 폐암 발병 사이의 유의미한 연관성이 확인됐다. 남성의 경우, 흡연 여부와 관계없이 모든 대상자에서 미세먼지 농도 증가에 의한 폐암 발병 위험도가 유의하게 상승했다. 여성은 현재 흡연자가 아닌 비흡연자와 과거 흡연자에게서만 유의한 연관성이 확인돼 장기간의 미세먼지 노출이 폐암 발병의 독립적인 위험인자인 것으로 밝혀졌다. 이현우 교수는 "이번 연구는 그동안 연관성이 있을 것으로만 여겨지던 미세먼지와 폐암 발병 사이의 연관성을 대규모 코호트 연구를 통해 입증해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며 "미세먼지 농도가 높은 도시지역 거주자는 건강검진을 통해 자신의 폐 건강을 주기적으로 검사해보는 것이 좋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인 '암 연구와 치료' 에 게재됐다.

출처 : 암 전문 언론 캔서앤서 기사
이 글이 도움이 되었다면 추천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