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 가이드 ∙ 위암

30대 중반에 과체중? 위암 발병 위험 정상 체중의 2배

avatar
힐오 케어팀
조회 34
추천 0
AI 요약
서울대 연구팀이 12만명 분석 결과, 35세 비만인 사람의 위암 발병 위험이 정상 체중자보다 1.94배 높게 나타났다. 특히 여성은 2.35배로 남성(1.79배)보다 더 위험했다. 비만도가 높을수록 위암 위험도 증가했으며, 젊은 성인기 체중 관리의 중요성이 강조됐다.

30대 중반에 비만인 사람은 위암 발생 위험이 정상 체중인 사람의 2배인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강대희 교수와 예방의학 전문의인 이휘원 연구원이 2004∼2013년 국립보건원의 도시기반 코호트에 등록된 12만 2724명을 분석한 결과다. 연구팀은 18∼20세와 35세의 비만도가 위암 발생과 연관이 있는지를 분석하기 위해 평균 8.6년간 이들을 추적 관찰했다. 이 기간 위암으로 진단된 환자는 총 927명(남자 531명·여자 396명)이었다. 연구팀은 체중(㎏)을 신장(m)의 제곱으로 나눈 체질량지수(BMI, 이하 단위 ㎏/㎡)가 30 이상일 때를 비만으로 보고, 정상 체중(BMI, 18.5∼23)과 비교했다. 그 결과, 35세 당시 비만 남녀에서 위암 발병 위험도는 정상 체중인 사람의 1.94배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비만도가 높아질수록 위암의 위험도도 함께 올라가는 경향도 나타났다. 성별로 분류하면 35세의 비만 남성, 여성은 위암 발병 위험도는 정상 체중인 사람의 1.79배, 2.35배였다. 여성이 남성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았다.


다만 후기 청소년기로 분류되는 18∼20세의 비만도는 남녀 모두 위암과의 유의한 연관성이 발견되지 않았다. 연구팀은 이 연령대의 전체적인 비만도가 낮아 유의한 연관이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연구팀은 “이번 결과는 대규모 한국인 코호트 분석을 통해 젊은 성인기의 비만이 위암 발생 위험을 높일 수 있다는 사실을 시사하고 역학적 근거를 제시한 데 의미가 있다”며 “젊은 성인기에 적절한 체중 조절과 유지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플로스 원’ 에 게재됐다.

출처 : 암 전문 언론 캔서앤서 기사
이 글이 도움이 되었다면 추천해 주세요